파리에서 온 낱말 - 크루아상, 톨레랑스, 앙가주망 우리 옆에 숨쉬는 프랑스와의 지적 조우
최연구 지음 / 리더스북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언어를 배우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소통하기 위해서이다. 여기서 말하는 소통은 단순히 말과 말을 주고 받는 소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소통이라는 것은 결국 그 사람의 생각과 문화까지 이해할때 가능한 것이다.

 

그렇기에 내가 다른 언어를 말한다는 것은 그 언어를 사용하는 문화까지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의미이다. 입을 통해서 나오는 말이 의미하는 것이 단순한 단어들의 조합일때는 거의 없다. 오히려 그 단어들에 담긴 문화적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소통의 부재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여기 파리에서 온 낱말들이 있다. 프랑스의 문화, 사회에 걸쳐서 쓰이는 낱말들의 진짜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프랑스적인 앎과 삶을 이해하자는 것이 이 책의 취지인 듯 하다.

 

 

오직 프랑스에만 존재하는 듯한 멋진 문화를 우리들은 소개된 단어들을 통해서 경험하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못 알려진 프랑스어의 기원을 자세히 알아 봄으로써 그것이 지닌 의미를 다시 한번 깨닫게 한다.

 

남성, 여성을 표현하는 단어가 따로 있고 관사가 붙느냐 아니냐에 따라 그 의미가 판이하게 달라지는 프랑스어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 다소 잘못된 표기로 변한 것들을 이 책에서는 나온다. 그 예로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 삼순이의 직업은 파티시에로 나온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표현이다. 파티시에는 남성형이기때문에 여성형인 파티시에르로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외에도 우리들에게 잘못 알려진 낱말들에 대한 정확한 표현과 함께 그 유래와 더 확장되고 파생된 낱말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프랑스 지도층의 문화에선 우리나라에서는 엿볼 수 없는 노블리스 오블리제가 느껴지고 일반 시민들의 모습에서 자유와 멋과 여유로움이 느껴지기도 한다. 물론 그들의 문화와 사회 모든것이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그들도 분명 우리가 그런 것처럼 아픔과 치부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다만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지금의 프랑스를 있게 한 문화적 자산이 이 책에 소개된 낱말들에도 고스란히 묻어나기에 부럽기도 하다는 것이다. 비록 한정된 낱말들이긴 하나, 프랑스식 사고를 경험할 수 있는 흥미로운 시간임에는 틀림없다.

 

문화와 사회적인 파리 낱말들을 읽다보면 프랑스의 현재와 과거의 역사 그리고 문화, 사회, 정치까지 고스란히 드러난다. 물론 해당된 낱말에 국한된 이야기이긴 하지만 그속에서 충분히 많은 것을 느끼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