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인간적인 인간
브라이언 크리스찬 지음, 최호영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인간적인 인간... 참 생소하게 들린다. 오히려 인간같지도 않은 인간이란 말을 더 자주 접하게 되는 요즘이다. 물론 이 책에서는 스마트한 기계가 판을 치는 초극도의 디지털 세상에서 왠지 아날로그적 인간을 말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말이지만 말이다.

 

솔직히 이책을 접하기 전까지는 뢰브너 프라이즈(Loebner Prize) 경연대회라는 것이 있는 줄도 몰랐고, 책을 읽기전까지는 뢰브너 프라이즈(Loebner Prize) 경연대회의 의미나 그외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도 금시초문이였다.

 

점점 더 기계화되고, 컴퓨터화되는 세상에서 '가장 인간적인 인간’으로 뽑힌 브라이언 크리스탄의 이야기는 흥미롭다. 우리가 인간이라는 것에는 모두 동의할 것이다. 오히려 의심할 여지가 없다는 것이 당연하다. 그것에 반론에 제기하는 것 자체가 센세이션을 몰고 올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적인 인간이라는 말에 전자에서처럼 동의할 수 있을까?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여러가지 주제들을 가지고 인간적인 인간이라면 행할 수 있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지금까지 인간은 인간을 위한다는 명목으로 신천지같은 스마트한 세상을 만들었다. 하지만 그러한 과정에서 인간성을 상실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세상에 브라이언 크리스찬은 인간성을 이야기함과 동시에 '인간적인' 존재를 거론한다.

 

바로 로봇이란 존재가 점차 인간화되어 가고 있음을 이야기하는데, 그 이야기속에서 다양한 내용들이 나온다. 그동안 인간 고유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분야에서까지 로봇은 '인간적인' 모습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과연 우리 인간은 어떠한가를 반문하고 있는 것이다.

 

영화에서 등장하는, 우리가 만들어낸 로봇에 지배당하는 우리의 모습을 보면 결국 우리가 인간의 자랑이자 유일함이라고 생각했던 인간적 가치를 로봇이라는 새로운 개체에 도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누구를 이겨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인간들이 그동안 잊고 살았던 인간적인 가치를 깨우치게 하는 동시에 로봇이란 존재가 보여주는 놀라운 발전을 통해서 우리는 인간성을 더욱 지켜야 한다는 말이다.

 

어찌보면 시대에 뒤떨어지는 주장일지도 모르겠다.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기는 커녕 퇴보하는 말처럼 들리기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돌이켜 보면 자신의 고유 모습을 잃어버린채 영원히 사라져 버린 수많은 생물종을 고려해 볼때 이러한 주장은 우리 인간에게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인간적인" 인간. 당연한 듯 하지만 결코 쉽지 않은 모습이라는 것을 안다면 그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도 알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