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파는 상점 - 제1회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15
김선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1회 자음과모음 청소년 문학상 수상작이라고 한다. 그래서 상당히 기대했던 것이 사실이다. 개인적인 생각과 느낌이지만 자음과모음 책은 상당히 독특하다. 소재가 먼저 톡특하고 그 내용도 흥미롭다.

 

제목도 흥미롭다. 그래서 난 자음과모음책을 좋아하고 즐겨 읽는다. 이 책 역시도 그런 맥락에서 선택했던 것이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느낌을 말하자면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다'는 말이 딱 어울리는 이야기다.

 

소방대원이던 아버지 순직했다. 출동해서가 아니라 출동해서 가는 도중 어느 미친 속도광이 낸 교통사고로 말이다. 아버지가 연수에 가서 썼던 유언장이 진짜 유언장이 되어버렸다. 온조는 아버지가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 노력했던 그 마음을 잊지 않는 동시에 자신이 아르바이트에서 경험한 시간의 양면성을 통해서 인터넷에 "시간을 파는 상점"을 오픈한다.

 

뭔가 대단한 사명을 가진것 처럼 소개하고 있지만 내가 보기엔 본인이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인간 사이의 일을 대행해주는 심부름대행업체로 밖에는 안 보인다.

 

주인공 온조네 학교에서는 지난해에 한 학생의 물건이 도난 당하고 그 일의 범인인 아이가 자살하는 사건이 있었다. 그렇기에 최근 사라진 최신형 PMP를 대신 주인에게 돌려주라는 첫 의뢰가 시간을 파는 상점에 들어온다. 경계를 나누고 관장한다는 의미에서 닉네임을 크노소르라 정하고 네곁에의 의뢰를 아슬아슬하게 해결하지만 이것은 오히려 예상치 못한 결과를 불러 오게 된다.

 

극초반에는 이런 묘한 사건들이 흥미롭게 진행되고, 나름 긴장감도 있다. 그리고 과연 누가 무엇때문에 이런 의뢰를 할까 싶은 궁금증까지 생긴다. 그리고 강토라는 또다른 의뢰인도 등장한다. 집안 문제로 등을 돌린 할아버지와 아버지 사이에서 무엇도 할 수 없는 강토가 의뢰를 한 것이다.

 

시간을 파는 상점이라는 특이한 설정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지만 그속에서는 고등학교 생활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집안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의 좌절과 아픔이 나온다. 또한 아버지의 부재와 어머니의 재혼이라는 상당히 현실적인 문제들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이 극후반으로 갈 수록 이야기의 재미를 없애버릴 정도로 유기적으로 전개되지 못한다. 누가, 왜, 무엇을 위해서라는 궁금증이 최고조로 긴장된 순간 허무하게 끝나버린 것이다.

 

학생들의 아픔과 고민들을 알리려 했다는 것은 알겠지만 그런건 이미 너무 많이 봐왔기에 신선하지도 않고 해결 부분이 감동적이지도 않다. 무너가 잔뜩 기대를 하게 만들고 끝을 이토록 허무하게 끝내버리는 건 작가로서의 직무유기다.

 

현실에서 어떤 문제들이 모두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은 안다. 하지만 너무 밋밋하게 끝나 버린다. 이건 감동도 없고, 재미도 없다. 그리고 이야기의 초반 뭔가 팽팽하게 당겨지던 느낌이 갑자기 끊어진 것 마냥 되어버린 것이다.

 

사람마다 느낌의 차이는 있겠지만 딱 제목과 극 중반 이전까지만 재밌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