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열다섯, 한 번도 그거 못해 봤어 탐 청소년 문학 5
모드 르틸뢰 지음, 이세진 옮김 / 탐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해 여성가족부가 전국 중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의 첫 성경험 연령이 14.6세라고 한다. 실로 놀라운 통계치이다. 내가 이런말을 하게 될 줄은 몰랐지만 정말 우리때의 14~15살은 아직 아이나 마찬가지였고, 순수하지는 않더라도 이런 통계치를 보일만한 모습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이 책은 상당히 현실 반영적이라고 볼 수 있겠다. 제목부터가 "난 열다섯, 한 번도 그거 못해 봤어"이다. 여기서 못해본 그거는 바로 성경험이다. 다소 발칙한 제목이고 그 내용도 어떻게 보면 이걸 읽어도 되나 싶기까지 하다.

 

하지만 바로 그런점이 오히려 우리 아이들의 모습과 심리(물론 모든 아이들은 아니겠지만 말이다.)를 잘 표현해주기에 읽어볼 만한 것 같다.

 

교내에서 우등생이자 모범생으로 통하는 소녀 카퓌신의 마음속은 '첫 경험'에 대한 강박증에 시달린다. 그리고 열등생 소년 마르탱이 나온다. 전혀 공통점이 없어 보이는 두 사람에겐 역사 선생님인 프랑수아 '마르탱'이라는 엄청한 사람이 존재한다. 바로 카퓌신이 첫 경험 상대로 오매불망 바라는 사람이 역사 선생님 '마르탱'이며, 카퓌신이 수업 시간에 잠이나 자는 '스머프' 같은 녀석이라고 말하는 마르탱의 어머니와 수상쩍은 관계에 있는 사람이 바로 역사 선생님이기 때문이다.

 

섹스에 대한 이론적 지식은 거의 모든 것을 알고 있는 듯한 카퓌신의 첫 경험은 과연 이루어질까하는 궁금증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그 과정들이 음란하기 보다는 맹랑한 녀석이라는 분위기를 더 풍기기 때문이다.

 

제목은 확실히 선정적이라고 할만큼 자극적으로 다가오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그 내용을 들여다 보면 십대 청소년들의 성에 대한 호기심과 섹스라는 것에 대한 관심이 고스란히 들어난다. 그리고 그런 내용들이 결코 나쁜 이미지로 다가오지 않는 것은 아마도 이 책의 내용이 '그거'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그거'에 대해 관심을 갖고, 그것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나름대로의 성장이라는 결과물을 보여주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