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파란 - 제1회 황금펜 영상문학상 금상 수상작 황금펜 클럽 Goldpen Club Novel
류서재 지음 / 청어람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흥선대원군이라 하면 학창시절 그와 관련된 역사를 이미 배웠다. 역사 속 그의 이미지는 쇄국정치를 통한 조선의 개혁을 늦춘 인물이요, 당백전을 발행하여 경제 혼란을 가중시킨 인무링요, 경복궁 재건을 위해서 나무를 베어내게 해서 양반과 유림의 반발을 산 인물이기도 하다. 또한 그의 아들인 고종을 대신해서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한 왕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이하응이란 이름보다는 흥선 대원군이란 명칭으로 더 잘 알려진 그의 삶에 대해 집중조명한 책이 바로 <석파란>이다. 흥선 대원군의 호가 석파(石坡)라는 것과 대중에겐 잘 알려지지 않았을지는 모르나 그의 그림 솜씨가 출중했다고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석파란'이라 하여 그의 호를 따서 불리는 난 그림은 탁월했다고 한다.

 

이 책에서는 고종을 대신해서 정권을 장악하고, 자신이 선택한 며느리 명성황후와의 마찰 등의 이야기만으로도 우리에게 좋은 이미지보다는 그와 반대되는 이미지로 남겨진 흥선 대원군 이하응의 삶을 역사적 사실과 픽션을 적절히 섞어서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중국에까지 유명했다는 그의 묵란도를 비롯해서 난도 11점을 책에서는 수록하고 있다. 불우한 종친에서 왕의 아버지로 살아간 그의 삶을 난도와 함께 잘 어울어져서 그려내고 있는 작품인 것이다.

 

 

전(傳) 이하응(李昰應, 1820- 1898) 필(筆) 묵란도(墨蘭圖)

 

12세에 어머니를, 17세에 아버지를 여의고 불우한 삶을 살던 그가 고종이 12살에 왕위에 오른뒤 섭정을 통한 권력의 왕좌에 올라 흥선 대원군으로 살아가는 동안 그린 묵란에는 안동 김씨 가문의 실세인 김병학과의 대립과 그의 인생이 모든 담긴 그림이다. 그리고 그 당시의 조선과 주변 국가의 정세 국내의 분위기까지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비록 허구를 간직한 책이기는 하나 곳곳에 사실감 넘치는 요소들을 배치하여 책을 읽는 이로 하여금 현심감을 느끼게 하는 책이기도 하다. 난이라는 그림을 통해서 자신을 표현하고, 난에 자신의 이상을 그려냈기에 그의 석파란이 지금에까지 그 가치를 더하고 있는 것인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