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게 나쁜 건 아니잖아요 - 아름다운 공존을 위한 다문화 이야기
SBS 스페셜 제작팀 지음 / 꿈결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자랑하는 것들 중 하나가 바로 단일 민족국가라는 말이 있다. 여타의 많은 외국의 다른 나라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단일 민족으로 구성된 나라이기에 단결이 잘된다는 점을 장점으로 들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뒷면에는 타민족과 외국인에 배타적이다, 차별한다는 씁쓸한 사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제는 많은 사람이 알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얼마 전 은퇴를 선언한 미식축구 스타 하인즈 워드. 그가 미국 사회에서 성공을 거뒀을때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가 미국인이 아닌 한국계라는 것에 주목했다. 그리고 자연스레, 어쩌면 당연한 듯 한국인이라 치켜세우며 함께 기뻐했다.

 

그렇다면 진짜 한국으로 와서, 한국인으로 귀화한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에겐 어떨까? 굳이 예를 들지 않아도 많은 사람들로부터 그들이 미국에 사는 하인즈 워드보다 못한 대접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 더이상 단일 민족국가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2011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혼인의 11%가 국제혼인이다. 결혼을 하는 10쌍 가운데 1쌍 이상이 국제결혼을 하고 있다는 말이다." 이처럼 국제결혼과 그 결과로 탄생한 다문화 가정은  더이상 낯설지 않은 풍경이 되어 버린 것이 사실이다.

 

과거 농어촌 총각의 결혼을 위해 주선되었던 국제결혼이 이제는 개인의 호감으로 인해 성사되고 있고, 해당 국가도 상당히 다양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얼마나 그들을 마음속으로 받아들이고 있을까?

 

일각에서는 국제결혼을 통해서 만들어진 가정을 일컫는 "다문화"라는 말이 바로 그들을 우리와 차별화시키는 출발점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다. 많은 외국인들이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한국인의 국적으로 한국인과 결혼해서 한국인으로 살아간다.

 

자신들의 가족을 떠나 먼 이국땅에 둥지를 틀고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는 그들에게 나와 다른 모습을 가졌다는 이유로, 나와 다른 언어를 쓴다는 이유로 차별하거나 아픔을 주진 말았으면 좋겠다.

 

나와 다르기에 내가 가지지 못한 장점이 있을지도 모르지 않는가. SBS 스페셜로 방송된 내용을 책으로 엮은 이 이야기는 실제 다문화 가정의 사례를 많이 다루고 있다. 어른들도 마찬가지지만 아이들의 아픔을 읽을땐 가슴이 서늘해진다.

 

세상에 닮은 사람은 있어도 똑같은 사람은 없다. 그 생김새도 성격도 말이다. 그러니 나와 다르다고, 나와 같지 않다고 그 사람을 아프게 하지는 말았으면 좋겠다. 단일 민족국가라는 한국의 이미지보다 동방 예의지국이라는 그 말에 우리 대한민국을 더 어울리게 하는 그런 우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잊지 마시라. 내가 외국을 나가는 순간 나 역시 이방인이 된다는 사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