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실 - 2005년 제1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무삭제 개정판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인 미진부와 묘도가 그들의 아름다운 사랑의 결실이라 하여 미실(美室)이라 이름을 지었다는 미실은 실제로 존재했는지조차 명확하지 않은 여인이다.

 

역사속 영웅이나 귀인들이 그 출생에 독특함이나 영험함을 담은 출생 비화를 가진 것처럼 미실 역시 결코 평범하지 않은 스토리를 가졌다고 볼 수 있겠다.

 

태어난 이후부터도 명삼치 않았던 미모등에 대한 이야기도 이 책에서는 자세히 나온다. 드라마 선덕여왕을 통해서 대중에서 더 많이 알려진 미실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사람들은 지나친 권력욕을 보인 그녀를 요부로 보기도 한다.

 

그녀의 출생부터가 비범했던 것을 보면 그녀에 대한 평가를 우리가 보여지는대로 내릴 수 없음을 알게 한다. 권력에 의해 좌지우지되던 삶을 살아온 그녀가 권력의 정점에 오르고자 했던 욕망은 어쩌면 당연해 보이기도 한다.

 

2012년 <미실>은 초판 출간시 분량 문제로 덜어냈던 원고지 150매 분량의 원고와 120여 개의 각주를 되살린 ‘정본’ 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책을 읽다보면 배경이나 분위기에 대한 묘사가 상당히 멋스럽게 느껴진다. 한국무용을 보는 듯한 유려하면서도 섬세한 표현들을 책을 읽는 내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책보다는 드라마를 통해서 그 존재가 더욱 알려진 미시(美室)이라는 여인에 대한 평면적이면서 입체감을 가진 표현을 읽다보면 드라마에서 보여지던 화려함이나 독함보다는 조금 더 여성스럽고, 경건하게 다가 온다.

 

그녀의 삶에 대해서 사람마다 느끼고 논하는 의견이 다르겠지만 미실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제대호 읽어 본 다음 그녀에 대해 말했으면 좋겠다.

 

 

이 책에서는 등장인물에 대한 관계도가 나온다. 유독 많은 등장인물과 복잡한 인물 관계를 생각하면 정말 이런 정도는 생각해줬으면 하는 독자의 마음에 대한 작가의 배려가 아닌가 싶다.

 

드라마를 먼저 본 사람에게는 화면 속에 등장했던 미실과는 또다른 느낌의 미실을 만날 수 있을 것이고, 처음 미실을 접하는 사람에게는 색으로 왕을 모시는 ‘색공지신’의 혈통으로 태어난 미실의 운명과 인생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알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