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미오는 정말 줄리엣을 사랑했을까? - 심리학자와 함께 명작 속으로 떠나는 마음 위로 여행
김태형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로미오와 줄리엣은 비극적이지만 아름다운 사랑이야기로 유명하다. 흔히 집안의 반대로 순탄치 못한 사랑을 하고 있는 연인들에겐 현대판 로미오와 줄리엣이라는 말이 자연스레 붙기도 한다.

 

하지만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보면서 둘의 이루어지지 못하는 사랑에 대해 안타까움을 넘어서는 바보스러움이 느껴질때가 있었다.

 

사랑을 쟁취하기 위해서 줄리엣이 로렌스 수사의 도움으로 죽은척 하게 되지만 이런 사실을 몰랐던 로미오는 죽고 만다. 이점에서 드는 의문점 왜 로렌스 수사는 로미오를 말리지 않았는가하는 점이다. 아무리 동작이 빠르더라도 붙잡고 사실을 말해줄 잠깐의 시간도 없었단 말인가...

 

이런 웃지못할 일이 순식간에 일러나게 된 원인을 저자는 등장인물들 속의 성격과 심리에서 찾고 있다. 이 책에서는 총 7편의 고전이 나온다. 로미오와 줄리엣, 카르멘, 춘희, 지킬 박사와 하이드, 햄릿, 노트르담의 꼽추, 오즈의 마법사가 바로 그것이다.

 

어느것 하나  낯설지 않은 내용들이다. 누군가는 사랑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죽음에 이르기도 하고, 누군가는 괴물이 되기도 하고, "누군가는 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로 괴로워하기도 하는 이 모든 이야기의 핵심은 바로 건강하지 못한 주인공들의 심리에서 비롯된다는 것이다.

 

물론 그때 당시의 시대에서는 어떤 문제였는지 몰랐을 심리증상들을 지극히 현대적 감각에 비추어 볼때 그렇다는 이야기다.

 

물론 주인공들이 갖게된 정신적, 심리적 문제들을 살펴보면 갑작스레 생겨난 것은 하나도 없음을 알 수 있다. 오히려 주변 상황들로 인해서 발생하여 그러한 문제들을 제대로 치료받고 위로받지 못했음을 알게 된다.

 

결국 자라면서 순탄치 못했던 성장 과정들이 그 사람들의 인격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는 커서도 문제해결을 함에 있어서 제대로된 결정을 내리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스스로에게 자신감이 없을 뿐더러 상대방에 대해서도 자신감이 없었기에 비극으로 끝난 버린 사랑을 볼때 단순히 사랑에 실패하는 것이 서로의 마음이 변해버린 것만은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라는 과정에서 억압 받거나 부모의 제대로된 사랑을 받지 못할 경우 스스로가 결정을 내려야 하는 수간이 왔을때 옳지 못한 파국을 맞이하게 된다는 것 또한 알게 될 것이다.

 

주인공들 모두는 자신에게 문제가 있음을 알지 못했다. 오히려 타인에게 그 문제의 원인을 찾으려 하거나 묻기도 한다. 책을 읽다가 왜 이 사람은 이렇게 했을까하는 의문이 생길때가 분명 있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이 책은 주인공의 심리에 접근함으로써 바로 그런 문제들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해 주고 있다. 결국 이 모든 점들을 통해서 우리는 책속에서 보여졌던 인물들의 행동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