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엔 행복해지기로 했다 - 가장 소중한 건 바로 지금, 그리고 나
김신회 지음 / 미호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마다 나이에 따른 느낌과 생각이 다르겠지만 여자에게 서른은 청소년들의 성년식만큼이나 어쩌면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여자 나이 서른. 뭔가 엄청난 큰일이 도래한 느낌이 든다. 더이상 젊지 않다는 생각, 더이상 예쁘다는 말이 안 통할 것 같은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서른의 여자는 여자라는 인식보다는 누구의 아내, 누구의 엄마, 누구의 며느리고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내가 20대때 난 영원히 이 시간을 가질 줄 알았다. 꿈도 많았고, 그래도 할 수 있는 일과 기회가 더 많다고 생각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서른이 되고부터는 거침없이 때로는 무모함으로 비춰질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어릴적 내가 꿈꾸던 성숙한 여자의 이미지에서 지금의 나는 조금 멀어져 보이는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돌이켜 보면 행복하다는 말보다 힘들다, 아프다는 말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행복하고 싶지 않은 여자는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행복해지는 것일까? 이 책에서는 그런 고민들에 대한 해답이 나온다. 이미 서른이라는 시간을 지나온 저자의 솔직한 고백이 바로 그것이다. 살다보면 하고 싶은 일들보다 해야할 일들이 더 많아지기 마련이다. 더이상 어리지 않기에 함부로 해버릴 수 없는 일들도 많다.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참으로 현실적이고, 솔직하다. 때로는 체면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끌려 가기만 했던 문제들에 대해서 저자는 자신이 할 수 있는 만큼을 유지하라고 말한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유명한 철학자의 말을 굳이 빌려오지 않더라도 이 세상은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니기에 타인의 배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소중한 것은 바로 나 자신이라는 것을 잊지 말자는 것이다. 지나고 나서 하지 못한 일들에 대해서, 때로는 저질러 버렸던 일들에 대해서 우리는 후회하고, 아직 오직 않은 일들에 대해서 고민하고 걱정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내가 아무리 후회해도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일들이고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들은 결말이 지레짐작으로 상상해본다한들 그렇게 되지 않을 수도 있음이다.

 

그러니 내 힘으로 할 수 있는 지금에 주목을 하자는 것이다. 후회했던 어제와 같은 오늘이 되지 않도록 지금 행복할 수 있는 그런 소중하고 의미있는 시간을 보내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전까지와는 너무나 다른 서른이라는 숫자에 대해서 한단계 더 성숙해지는 의미로 받아 들임과 동시에 내 삶의 행복은 바로 나 자신이 만든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가장 소중한 건 바로 지금, 그리고 나라는 사실을 꼭 기억하자.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