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살아야 해! ZERI 제리 과학 동화 2
군터 파울리 글, 파멜라 살라자 그림, 이명희.김미선 옮김 / 마루벌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외래종의 도입으로 순수 토종의 생존이 위협받는다는 얘기는 이미 어제 오늘일이 아니다. 어떤 이유에서 들여 왔건 유입된 외래종으로 인해서 기존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문제는 더이상 지켜보고만 있을 수 없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스스로 살아야 해>에서는 이렇게 외래종의 유입으로 인해서 기존의 토종 생물들이 그 생존을 위협받는 문제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돋보이는 책이기도 하다. 

 

갈라파고스 군도는 많이들 들어 보았을 것이다. 전세계를 통틀어 원시 자연 생태계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는 곳이여서 많은 학자들이 연구활동을 하는 곳이기도 하다. 이런 갈라파고스 군도에서 두 번째로 큰 섬인 산타크루즈을 무대로 한 이 이야기는 실제 산타크루즈 섬에 없었던 동물인 고양이와 염소와 같은 외래종이 들어 오면서 기존의 생태계가 파괴되는 모습을 담고 있다. 보통 외래종들에겐 천적이 없고, 그 개체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상황이라 한번 번식이 되면 다시 내보낼 수도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처음 쥐를 잡기 위해 들어온 고양이는 더이상 쥐를 잡을 수 없게 되자, 이구아나를 잡아 먹게 되고, 이는 곧바로 이구아나의 생존을 위협하게 된다. 또한 염소 역시도 그곳의 환경에 적응하고자 했던 것이 오히려 토종인 거북이의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이 되고 만다.

 

 

이처럼 처음의 의도와는 다른 상황이 펼쳐지는 가운데 고양이와 염소는 자신들의 생존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엄연히 다른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는 것또한 사실이다. 그러면서도 둘은 전혀 미안해하거나 실효성있는 대책이나 방안은 생각하지도 않는다. 그런 점에서 우리 인간의 무분별하고 예측하지 못했던 행동들, 그리고 뚜렸한 대안이 없는 현실태를 고발하고 있는 것 같다. 동시에 앞으로 이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결국은 아무것도 남지 않을 수도 있음을 심각하게 경고하는 듯 하기도 하다.

 

이 책의 후반에는 이 문제들에 대해서 좀 더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 질문들이 나오며, <학문적 지식>을 통해서 문제에 대해 보다 다각도로 접근한 방식이 흥미롭고 유익하다.

 

단순히 외래종의 위험성에 대한 이야기만을 하기 보다는 생태계 내에서 공존 공생해야 하는 서로간의 관계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 볼 것을 이 책은 동물들의 입을 빌려서 우리 인간들에게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