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을 알고 싶다
스티븐 주안 지음, 홍수정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인체, 특히 몸은 신비로움 그 자체이다. 과학적 해부를 넘어서는 심리적인 요인까지 합할 때 그 전부를 이해하기란 애초에 불가능일지도 모른다. 내 몸이지만 나조차도 몰랐던, 그리고 궁금했던 내 몸에 관한 모든 지식을 이 책을 알려 준다.

 

인간의 탄생에서부터 시작해서 좀더 구체적인 신체 기관-머리, 눈, 코, 귀, 입, 피부, 체모, 손발톱, 뼈, 골격, 치아, 심장, 혈액, 폐, 소화기관, 그리고 전반적인 인체에 대한 궁금증과 인간 행동, 나아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말그대로 탄생부터 죽음에 이르는 우리의 몸과 관련된 거의 모든 것들을 알려준다고 보면 좋을 것이다.

 

한번쯤은 궁금했던 질문들이였다. 하지만 마땅히 질문할 곳도 없었고, 제대로된 대답을 기대할 수도 없었던 내용들이다. 사람들의 궁금증의 비교적 보편적이다. 내가 궁금해하는 것들은 다른 사람들도 궁금해한다. 개중에는 독특하고 기발한 질문들이 있기도 하다. 예를 들면 5장 귀에 관한 모든 지식편에 나오는 질문 중에 "사람의 귀지는 모두 비슷한가?"라는 것이 있다. 도대체 그게 뭐가 궁금하냐고 도리어 질문자에게 되물을지도 모르는 그런 질문들에도 이 책은 자세히, 과학적으로 얘기해준다.

 

흔히 아이들의 수많은 질문공세에 지쳐서 어른들이 많이 내뱉는 "쓸데없는 질문하지마라." 는 그런말에 딱 어울릴만한 질문들도 상당수 있는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제각각의 모습으로 살아가기에 그 질문들도 다양한 것일테지만, 그런 질문들을 모아서 책속에 실었다는 점도 놀랍다. 그래서 읽는 내내 "아~ 그런거군." 하는 말을 나도 모르게 내뱉게 될 것이다.

 

각각의 장마다 그 주제에 맡게 질문들이 짜여져 있고, 대답을 해주기 때문에 어느 것 하나가 재밌다고 말하기도 어려울 정도다. 흥미로운 주제에 대한 진지하고 과학적인 대답이 인상적이다. 한권의 인문교양서라기 보다는 인체-우리 몸의 신비에 대해 풀어쓴 백과사전 같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많은 흥미로운 질문들과 짧고 간결하지만 정확한 답변이 이어지기 때문에 결코 지루하지도 않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하나의 질문에 대해서 과학, 의학, 심리학, 인체 해부학 이외의 거의 모든 학문이 다 연관되어 있는 것 같은 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