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오진영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울로 코엘료의 작품은 전체적으로 예지자, 순례자의 이미지를 풍긴다. 자신의 삶의 의미나 참된 인생의 목표를 위해서 순례를 떠남으로써 그 속에서 겪게 되는 신비로운 일들을 쓰고 있다. 그리고 그 순례의 길에서 만나는 소중한 인연이 꼭 나온다.

 

그래도 전작들은 좀 더 대중적인 느낌의 문학적 요소가 강했다면 브리다를 기준으로 해서 왠지 몽환적인 이미지로 변한 게 아닌가 싶다. <알레프> 역시도 지극히 작가 개인의 사적인 경험담 같은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파울로 코엘료는 이 알레프라는 개념에 근거해 우리 인간 존재가 살아가고 있는 ‘과거도 미래도 없는 영원한 현재’로서의 시간인 알레프와, 우리가 우주와 교감하게 되는 특정한 공간인 알레프, 그리고 그 공간에서 운명적으로 만난 이들이 발생시키는 에너지와, 우주라는 거대한 육체 안에서 함께 영적 성장을 이루는 우리 영혼에 관해 이야기한다." 고 말했다.

 

작가는 자신이 알레프 통해 직접 체험한 전생과 과거의 만남을 통해서 현재의 모습에서 정체되어 있는 자신을 변화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이 변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자신의 인생에서 자신만의 왕국을 건설함과 동시에 그 왕국의 왕이 되고자 함에 있다.

 

저자는 세계적인 명성과 행복한 가정과 사랑하는 아내와 그를 사랑해 주는 독자들까지, 겉으로 보면 완변히 성공하고 행복한 상태이다. 하지만 이런 경지의 지속은 저자에게 권태와 정체성을 가져 옮으로써 더 이상의 변화가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하고 이를 깨트리고 자신만의 왕국을 다시 이루기 위해서 그가 계획한 것이 일련의 사람들과의 시베리아 횡단이다.

 





기차로 모스크바에서 시작해서 극중에 그를 알레프로 인도하고 과거의 저자가 저지른 잘못을 고백하고 잘못을 용서받게 하는 여인인 힐랄이 온 예카테란부르크를 지나 전세계 담수의 20%를 담고 있다는 바이칼 호수를 지나 블라디보스토크까지 9288km의 대장정을 시작하는 것이다.

 

저자는 중간중간에 기차가 정차하는 곳에서 그를 기다리는 팬들과 만나기도 하고 인터뷰도 하면서 길고 지루한 시간들을 보낸다. 처음 여정이 시작되기 전 그와 함께 가겠다고 나타난 힐랄이라는 여성은 확실히 미스터리한 인물이다. 그녀는 수세기 전에 저자와 인연이 있는 인물로 그의 비겁함으로 억울한 죽음에 이른 장본인이기도 하다.

 

아무튼 기나긴 여행을 하는 동안 저자, 힐랄, 야오(저자의 통역사) 세 사람을 중심으로 알레프라는 매체를 통해서 서로는 서로에 대해 이해와 용서, 사랑과 연민을 경험하게 된다.

 

이 모든 과정들이 읽기에 따라서는 조금 허망한 것 같기도 하고 허무맹랑한 것 같기도 하다. 지극히 몽환적이면서 환타지를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결국 시베리아 횡단을 끝내고 저자와 동행한 이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바를 얻게 되는데, 저자와 힐랄의 관계는 여전히 오묘하게 마무리된다. 과거의, 전생에서의 인연이 현재에 다시 만나서 전생의 일들을 함께 경험하게 되고, 그속에서 용서와 화해, 사랑을 경험하게 된다는 복잡하면서도 난해한 그런 이야기다.

 

이건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이지만 이 글을 읽은 저자의 아내는 시베리아 횡단 열차에서 벌어졌던, 그리고 그 이후의 힐랄과 저자의 일들에 대해서 과연 어떤 느낌을 받았을까하는 생각이다.

 

아무리 전생이라고는 하지만 현재와 이어지는 그 일들을 이렇게 만천하에 고백하다니, 그저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