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이 차린 밥상 - 소설로 맛보는 음식 인문학 여행
정혜경 지음 / 드루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 소설 작품이나 각종 영화 속에 등장하는 음식들을 보면 맛있어 보이는 음식들의 경우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기 마련인데 이번에 만나 본 『문학이 차린 밥상』은 우리나라의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소설과 근현대 문학가의 작품은 물론 판소리 다섯마당(춘향전, 심청전, 흥보전, 토끼전, 적벽가>에 등장하는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음식에는 그 나라 민족의 얼과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에 이 책을 통해서 만나보는 우리나라의 전통 음식은 물론 여러 한식들에 대한 이야기를 책을 통해서 만나볼 수 있어서 흥미로울 것이다. 


가장 먼저 나오는 음식은 바로 전라도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낸 최명희 작가의 『혼불』로 사실 작품은 너무나 유명한데에 비해 아직 읽어보질 못해서 이 작품 속에 어떤 음식들이 나오는질 알지 못했는데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된 경우이다. 

음식도 일상적으로 먹는 것과 조금은 특별한 날 먹는(세시 풍속 음식, 통과 의례 음식) 음식이 함께 소개된다는 점도 좋았던것 같다.

박완서 작가의 『미망』에서는 개성 음식이 소개된다. 작가님이 전란에 피난을 온 경우라 작가님에게 작품 속에 소개되는 음식들이 그 자체로 그리움의 대상이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박경리 작가님의 『토지』에서는 작품이 배경이 되는 경상도의 음식이 소개되어 전라도 음식과 비교해보는 묘미도 있었다.


『토지』는 경상도 음식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일제 강점기 시대의 음식도 소개되며 그 당시의 시대상을 함께 볼 수 있어서 음식을 통해 역사를 접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근대 시기의 음식은 이상과 심훈 작가의 작품을 통해 만나볼 수 있고 판소리 다섯 마당을 통해서는 역시나 우리 민중의 음식을 만나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민중의 바람이라든가 여러가지 마음들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어서 의미있다. 

특히 각 작품 속 음식들에 대한 이야기에는 그 음식들을 대표하는 키워드가 따로 있는데 예를 들면 일제 강점기 시대의 음식에는 한(恨)이 있고 판소리 다섯 마당의 경우에는 민중 음식으로서 정(情)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문학 작품 속 등장하는 음식을 통해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만나볼 수 있었던 책이었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