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의 언덕 열린책들 세계문학 289
에밀리 브론테 지음, 전승희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폭풍의 언덕』은 브론테 자매 중 한 명인 에밀리 브론테의 작품으로 영문학 3대 비극에 속한다고 한다. 고전명작으로 불리면 이미 많이 읽혀 온 작품이고 영화화 되기도 했다. 

작품은 워더링 하이츠 저택을 배경으로 캐서린 언쇼와 히스클리프의 사랑, 증오, 복수를 그린 작품이지만 이렇게 간단하게 표현하기엔 너무나 많은 이야기들이 그들 사이엔 오랜 시간에 걸쳐 존재한다. 

당시의 여성상과는 거리가 멀어보이는 영혼의 소유자로 역시나 자신과 비슷해 보이기도 하는 히스클리프와의 만남 이후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지지만 순수했던 옛 감정은 두 사람의 성장과 함께 캐서린이 에드거 린턴과의 결혼을 함으로써 끝이 난다. 

캐서린이 결혼의 상대로 선택한 에드거는 부유한 집안의 교양있는 남자, 어떻게 보면 사랑할 때의 마음과 결혼이라는 현실은 분명 다르다는 것을 캐서린은 깨달았을지도 모르겠지만 이런 캐서린의 선택에 히스클리프가 전적으로 동의할 수는 없었을 것이고 결국 그녀와의 이별은 히스클리프에게 커다란 상처를 안겨준다. 

결국 이후 그는 워더링 하이츠를 떠나게 되지만 복수를 위해 그가 다시 돌아오면서 캐서린의 친정인 언쇼 가문과 에드거의 집안인 린턴 가문에 운명처럼 비극이 들이닥치게 된다. 

사랑했지만 버림받은 한 남자의 처절한 복수극은 한 세대를 뛰어넘어 진행되고 그래도 너무한거 아닌가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하지만 그런 복수를 통해 오히려 드러나는 히스클리프의 감정은 단순히 증오라고 치부하기엔 캐서린을 향한 사랑, 더 나아가 집착 역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캐서린 역시도 히스클리프에 대한 마음이 있었겠지만 당시의 시대상이 어떤 조건으로 보나 비주류를 넘어 편견과 차별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었던 히스클리프의 상황을 생각하면 캐서린으로서도 그를 선택하긴 쉽지 않았을거란 생각도 든다. 

그렇기에 결국은 히스클리프는 그 배신감과 증오를 복수로 불태웠고 캐서린은 물론 많은 사람들의 그 희생양이 되어버린다. 과연 캐서린이 계급과 신분, 부를 쫓아 린턴 가문과의 결혼을 맺지 않고 자유로운 사랑을 선택했더라면 두 사람은 진정으로 행복했을까하는 생각도 해보게 된다. 

캐서린과 히스클리프와 같은 사랑, 그리고 캐서린의 선택이 비단 이 시대에만 존재했을까 싶기도 한데 지금이라고 이런 선택이 없으리란 보장은 없으니 이래서 고전명작이 시대가 흘러도 그 빛을 잃지 않는 이유인가 보다. 



#폭풍의언덕 #에밀리브론테 #열린책들 #세계문학 #세계문학전집 #열린세전 #고전문학 #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