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사가 날 대신해 소설, 잇다 5
김명순.박민정 지음 / 작가정신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권 신장이 많이 이뤄졌다는 지금도 사회 곳곳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는 여성이 존재하는데 과연 지금보다 100년도 훨씬 전에는 어떠했을까?

작가로서 능력이 있었기에 정식으로 소설이 당선되어 문단에도 등단했을텐데 같은 문학가들조차 그녀에 대해 폄훼하는 말들을 하고 깎아내리기에 여념이 없었다는 사실이 놀랍다. 적어도 그들은 깨어있는 존재들 아니였던 것인가...

바로 1896년 태생의, 1940년 전까지 작품 활동을 했고 발견된 작품만해도 무려 시 86편(번역시 포함), 소설 22편(번역소설 포함), 수필·평론 20편, 희곡 3편에 달하는 김명순 작가의 이야기다. 

『천사가 날 대신해』는 작가 정신에서 선보이는 ‘소설, 잇다’ 시리즈의 다섯 번째 도서로 근대 여성 작가와 현대 여성 작가의 백 년 시공을 뛰어넘는 만남이라는 주제로 기획된 것인데 이번에 만나 본 책에서는 근대 여성 작가로서는 한국 최초의 현상문예에 당선된 김명순 작가와 현대의 박민정 작가가 만들어내는 콜라보를 볼 수 있다. 

김명순 작가의 이야기 속에는 그녀 스스로가 그 시절 겪었던 여성에 대한 불편한 시선, 차별, 부정적 인식과 가부장제 사회 속 많이 배우는 것도 쉽지 않았고 그 이후에도 결혼을 하며 당연하게도 사회적 활동이 불가능해지는 여성의 삶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수록 작품에는 그녀의 데뷔작이기도 한 「의심의 소녀」가 먼저 나오는데 가부장제 사회 속 남자의 여성 편력 속 여성의 힘든 삶의 순간이 결국 죽음에 이르게 하고 그녀가 낳은 딸(범네)을 외할아버지(옹)가 데려와 마치 떠돌이마냥 거처를 옮겨다니며 키우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뒤늦게 죽은 처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딸을 사랑하게 되었지만 그 딸이 남자의 첩의 표적이 되어 미움을 받을까 결국 두 사람은 떠돌이마냥 그들을 피해 살아가는 이야기다. 

「돌아다볼 때」는 소련이라는 신여성이 송효순이라는 이학자에게 마음을 빼앗기지만 그에게는 이미 은순이라는 처가 있었고 이둘의 사이를 알게 된 은순이 그동안 소련을 키워 준 고모인 류애덕 여사에게 소련의 혼사를 종용하는 이야기로 결국 소련이 결혼하는 최병서는 남편으로서, 남자로서는 최악인 인물이였다. 스스로가 배워 생도들을 가르쳤으나 결혼 후 자기 존재가 없어지는 현실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그럼에도 배움을 게을리 하지 않으려는 의지 또한 대한하게 보인다. 물론 은순의입장에서 보면 남편 효순과 소련의 관계는 정서적 불륜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지만 두 사람이 나누는 대화는 비단 남녀 간의 애정이 아닌 지적 충족감을 위한 교류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외로운 사람들」은 최씨 가문의 네 남매(순희, 순철, 상철, 금희)를 중심으로 펼쳐지는데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집안이 정해 준 상대가 아닌 일종의 자유연애라고 해야 할지, 자신의 마음이 끌리는 대상과 연애하고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인데 어떻게 보면 이미 배우자가 있거나 약혼을 한 상태인 사람들이 오롯이 자신의 감정을 쫓아 그 마음이 끌리는대로 행동하는 것은 나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들어 보인다. 이는 나의 배우자, 약혼한 이에게도 무책임한 행태이며 자신이 좋아하게 된 이에게도 무책임한 행동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현대의 박민정 작가의 작품은 표제작이기도 한 소설 「천사가 날 대신해」와 에세이 「때가 이르면 굳은 바위도 가슴을 열어」 두 편을 실고 있는데 먼저 소설 「천사가 날 대신해」는 친구 세윤의 죽음으로 그가 남긴 일상 브이로그를 보던 중 자신도 아는 인물인 로사를 발견하게 된다. 

로사는 주인공과는 학교 후배이고 죽은 세윤과는 직장 동료이다. 평소 그녀에 대해 위험한 인물이라고 생각한 주인공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세윤은 로사에게서 벗어나지 못했고 죽기 전부터 이미 악몽 속에 로사의 등장을 이야기 한 바 있다. 그렇다면 정말 로사는 세윤에 죽음에 어떤 작용을 한 것일까?

이렇게 말하니 언뜻 미스터리 스릴러 같은 분위기지만 세윤의 죽음과 관련해 그녀가 처했던 현실들은 참 암담한 기분이 들게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에세이 「때가 이르면 굳은 바위도 가슴을 열어」 에서는 박민정 작가가 ‘소설, 잇다’ 시리즈의 다섯 번째 도서로 김명순 작가와의 콜라보에 대한 감회를 밝히고 이 책에 수록된 소설의 의미를 이야기 한다. 이런 박민정 작가의 에세이를 통해서 우리는 여성 작가 그리고 여성의 삶에 대한 생각을 해보게 만드는데 이는 백 년 전 김명순 작가가 느꼈을 사회적 시선과 폄훼, 그리고 저평가를 생각하면 김명순 작가는 과연 자신이 살았던 시대와 지금을 비교해 어떤 느낌이 들지도 궁금해지는 시간이였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