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보우 맨션 - 수천조의 우주 시장을 선점한 천재 너드들의 저택
애슐리 반스 지음, 조용빈 옮김 / 쌤앤파커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에 제목처럼 레인보우가 펼쳐진다. 마치 소설 같은 분위기의 이 책은 전세계적으로 관심사가 더욱 높아지만 앞다퉈 개발에 힘쓰고 있는 우주 시장을 이미 선점한 천재 너드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꽤나 흥미로운 제목이 아닐 수 없다. 우주 시장이라고 하니 가장 먼저 앨런 머스트가 떠오르는 것도 사실인데 실제 이 책에는 그에 대한 이야기도 만나볼 수 있다. 

사실 우주는 누구의 것도 아니다. 게다가 그곳에 무엇이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렇기에 개발, 개척 윤리라든가 누가 먼저 그곳을 정복하느냐에 따라 앞으로 국가 미래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에서 초미의 관심사인데 이미 그 시장가치가 수천조 규모가 되었다는 것만 봐도 미래 산업으로서의 부가가치 창출과 경제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책의 저자인 애슐리 반스는 미국 유슈의 언론 매체의 과학기술 작가라고 한다. 그렇기에 누구보다 더 현장에서 우주 과학, 우주 산업 시대가 도래하는 과정과 현장을 고스란히 보았고 이 책을 통해서 흔히 지금의 실리콘밸리의 주인공들의 개발에 주목하게 되고 그중에서도 우주 산업 개발에 도전하고 있는 천재 너들들의 기업이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유명 IT 회사의 개발자나 창업자들의 신화가 자신의 집 창고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에 주목했고 이렇게 해서 우주산업 개발에 도전하는 천재 너드들 역시 그러했으며 민간 우주기업인 플래닛랩스(Planet Rabs), 로켓랩(Rocket Lab), 아스트라(Astra), 파이어플라이에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를 중심으로 이들의 기업 탄생 스토리는 물론이거니와 그 창업주라고 할 수 있는 이들이 어떤 이유로 우주산업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현재 어떤 과정을 거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단순히 천재이기에 주목할만한 책이 아니다. 이들은 어떻게 보면 누구보다 빠르게 블우오션을 개척하고 있고 그것을 현실화시킬 두뇌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그 과정에서 따라오는 막대한 부는 그들의 성공을 신화로 만들기에 충분하다. 

실화이기에 더욱 흥미롭고 우리가 알만한 사람들의 성공 스토리라고도 할 수 있기에 마치 전기소설 같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그들의 신화 자체로도 충분히 소설 같은 전개라 기존의 과학 분야의 도서들과는 차원이 다른 재미를 선사할 것이다. 국가 산업으로서 우주 항공 산업에 투자를 하는 것도 대대적으로 뉴스에 소개될 정도인데 개인적 차원에서, 민간 기업의 자격으로 우주 산업에 도전한다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가 싶은 생각에 다큐멘터리로 만들어도 정말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게 한 책이였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