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움직인 열 가지 프레임 - 현대 문명의 본질과 허상을 단숨에 꿰뚫는 세계사
수바드라 다스 지음, 장한라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때부터인가 우리 사회에서 프레임은 부정적 의미로 쓰이기 시작했다. 일종의 '프레임을 씌운다'라는 표현으로 원래는 그런게 아닌데 뭔가 그런 의미로 이미지를 고착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달까.

『세계를 움직인 열 가지 프레임』도 그런 의미에서 접근하되 이 책은 그중에서도 권력의 프레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세계사 속 현대 문명이 가지고 있는 권력의 프레임에 의해 어떤 허실을 보이는지를 담아낸 책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책에서는 과학, 교육, 문자, 법, 민주주의, 국민, 예술, 죽음, 공동선이라는 주제로 우리가 보편적 가치, 옳은 것이라 생각했던 것 이면에 권력의 프레임이 어떻게 숨겨져 있고 또 그것이 어떻게 작용해 세계사와 인간의 생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려주는데 이는 곧 보통 어떤 사실이라고 알려진 것들을 고스란히 그대로 받아들이며 믿기 보다는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 왜 필요한가를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책에서 언급된 10가지 프레임은 사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공정하거나 객관적이거나 절대 선까지는 아니지만 선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것들이지만 사실상 그 조차도 누군가의 이익을 위해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나면 과연 우리가 진심으로 믿을건 무엇인가 싶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그래서 팩트 체크가 중요하고 스스로 사유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는 것을 다시금 깨닫게 된다. 

어느 분야에서든 그것을 통한 이익을 독점하고 아니면 반대급부로서의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존재가 있었다. 과학이나 민주주의, 교육, 인종 등에 대한 부분도 자세히 보면 이를 통해 누군가는 이익을 누렸고 동시에 지배력과 권력을 높이려는 의도로 사용되어 왔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시간이라는 프레임을 봐도 효율성을 추구하며 어느 시기에는 노동자들의 기계화한 부분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다.

분명 어떤 점에서는 좋은 점이 있고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온 것도 있지만 이를 이용해 서구 문명의 역사적 흐름 속에서 보여진 문제점들을 언급하면서 현대 문명과 세계사의 진실에 좀더 다가갈 수 있고 색다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해주는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