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열두 달 - 고대 이집트에서 1년 살기
도널드 P. 라이언 지음, 우진하 옮김 / 타인의사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 그리스에서 1년 살기』 가 꽤나 신선했고 흥미로웠던 기억이 난다. '소설처럼 읽는 역사 시리즈'이기도 했던 이전 도서에 이어 이번에 만나보게 된 책은 고대 이집트 편이라고 할 수 있는 『제국의 열두 달』이다. 

보통 역사는 승자의 편에서 쓰인다고 하고 꼭 그렇지 않더라도 역사 속 중요 인물들-왕, 장군, 발명가, 종교인, 발명가-을 중심으로 쓰여지고 그들의 삶이나 업적 등을 통해 우리는 역사를 배우게 되는데 정작 전체 인구수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보통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는 흔치 않다.

그들은 보통 먹고 사는 문제로, 문자를 배울 경제적/시간적 여력이 되지 않아 일상을 기록한다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을 수도 있다. 그렇기에 어떻게 보면 평범한 하루지만 반대로 정말 궁금했을 그 당시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에 대한 해답이 바로 이 책들이라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의 보통 사람들, 일반 백성들의 평범한 하루도 시대별로 출간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생기는데 고대 이집트의 생활사는 무려 기원전 1400년경의 이집트를 배경으로 나일강 범람한 시기기를 기점으로 한 고대 이집트의 1년을 담아내고 있다. 

고위 계층, 지도자가 아닌 농부나 어부, 다양한 물건들을 만들었던 사람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고대 이집트를 실질적으로 지탱했을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의 이집트 생활상을 만나볼 수 있는 책으로 나일강이 범람하던 시기, 그 이후 뿌리고 가꾸는 시기, 어떻게 보면 수확의 시기라고도 할 수 있는 세 번째 시기로 나누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1년을 3분기로 나눈 셈이다.

시대적 상황을 고려한 생활상도 나오지만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은 보통 사람들의 삶이 참 흥미롭다. 특히나 팩션이긴 하지만 고고학자인 저자가 들려주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좀더 깊이있는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는데 그도 그럴것이 저자의 주요 연구 분야 중에 이집트 고고학, 고대 언어와 문자기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역사적 자료까지 함께 실어서 사실감을 더하고 있다는 점도 독자들로 하여금 관심을 갖게 하고 내용을 더 잘 이해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지금의 기준으로 봐도 고대 이집트의 역사와 문화는 놀라울 정도이며 상형문자로 기록된 역사 중에는 정말 현대의 삶과 별반 다르지 않은 내용들이 있어서 시대를 막론하고 사람 사는 건 다 비슷하구나 싶은 생각도 들게 했는데 이 책을 보면 고대 이집트 보통 사람들의 삶을 통해 역사 속 위대한 인물이나 사건들 속에 가려진 채 발굴되지 못했던 참신한 내용들을 만나볼 수 있어서 상당히 흥미로운 책이였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