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살의 역사
최경식 지음 / 갈라북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흔히 음모론도 함께 등장하는 것이 유명인사를 둘러싼 죽음이다. 특히 그것이 암살, 암살 미수, 암살로 추정되는 경우라면 더욱 그렇다. 실제로 한국사는 물론 세계사 속에도 다양한 인물들의 암살과 관련한 이야기는 많다. 

당장 영조만 하더라도 내내 자신의 혈족을 죽였다는 의심을 사야 했고 소현세자는 자신의 아버지에 의해 암살되었을거라는 설도 있다. 

여기에 세계사의 사례를 살펴보면 그 유명한 존 레논, 케네디 등의 살인사건이 있고 성공했다는 세계사가 달라졌을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도 유명하다. 

『암살의 역사』는 이런 모든 이야기들과 관련해서 한국사 편과 세계사 편으로 나눠서 각각 10명, 총 20명과 관련한 암살에 대한 이야기가 자세히 담겨져 있다. 

20명 중에는 실제로 암살로 판명되어 암살범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확증이 없을 뿐 소위 정황상 누가 저지른 일일거란 역사적 평가가 있는 경우도 있다. 아마도 한번쯤 들어 보았을 정도로 워낙에 유명한 사건이며 때로는 그 사람의 죽음으로 역사의 흐름이 바뀌기도 했다는 점에서 지금도 여전히 언급되는 암살도 있다.

흔히 그 사건으로 인해 이익을 얻는 사람이 범인이라는 말이 있는데 그런 점에서 볼 때 20인을 향한 암살 내지는 암살 시도는 분명 무엇인가를 바꾸고자 했던, 때로는 멈추고자 했던 이들의 마음에서 기인한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기에 하나의 암살 사건이자 암살 미수일수도 있고 암살일거라는 일종의 미스터리로 남은 죽음일테지만 역사 속에서 그 죽음이 갖는 의미가 크기에 그 사건 전후의 역사를 함께 알아봄으로써 과연 어떤 이유로 이 사건이 발생했고 그 사건의 발생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등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도서라 생각한다.

단순한 흥미 이상으로 그 당시의 국내외 정세라든가 사회나 정치 분위기 등도 알 수 있는데 이는 결국 그 사람의 죽음이 그만큼 당시의 상황에 있어서 변곡점이 될 수도 있을거란 생각이 들어 역사적 관점에서 봤을 때도 의미있는 책일 것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