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들마치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37
조지 엘리엇 지음, 이미애 옮김 / 민음사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쉽지 않았기에 도러시아는 노학자를 통해 그 지적 욕망을 해소하려고 했지만 실제 결혼생활에서 남편인 캐소본이 보여준 모습은 학자적 무능과 그녀에 대한 질투, 그리고 다른 남자와의 불륜에 대한 상상이였고 이는 유산 상속까지 받지 못하게 하려고 유언장을 고치는 옹졸함으로 이어진다. 

또 사회적으로 보여지는 평판이라고 해야 할지... 지금도 이런 것들을 아예 무시할 순 없지만 프레드와 메리의 이야기를 보면 빚으로 힘들어하고 결국 신학을 공부하려고 하지만 이또한 자신이 원한 선택이 아니라 아버지의 강요나 다름없는 선택이였기에 그 선택이 반갑지 않았고 그런 사정을 모두 알고 있었던 메리와 메리 아버지 덕분에  프레드는 농부가 되기로 하고 결국 그토록 바라던 메리와의 결혼까지 성공하게 되는 인물인데 어떻게 보면 진짜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게 되는 두 사람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당시 목사라는 신분이 아닌 농부를 하려고 하는 아들의 선택을 프레드의 아버지는 이해할 수 없었을테지만 메리의 아버지는 기꺼이 프레드를 도와주니 프레드에게 있어서 어떻게 보면 진짜 가족은 메리와 메리 가족들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또 한 인물인 리디게이트와 로저먼드 부부의 경우에는 감당할 수 없는 빚으로 힘들어하고 이때 도러시의 도움이 크게 작용한다. 리디게이트는 의사로서 의술에 대한 원대한 목표가 있었지만 아내 로저먼드에겐 그런 남편의 이상보다는 남편의 사회적 지위와 사치스러운 생활이 우선이였고 결국 이런 차이는 부부의 결혼 생활을 파국에 이르게 하지만 도러시아의 도움으로 부부의 위기를 잘 넘기고 서로에 대한 믿음까지 회복하게 되는 이야기다. 

빅토리아 시대의 다양한 군상들의 결혼을 둘러싼 모습들, 당시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엄연히 계급이 존재한다고 생각할 수 있는 현실과 신분에 따른 사회적 인식, 결혼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 등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여서 시대극으로 드라마화해도 상당히 재미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들었다.



#미들마치 #조지엘리엇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세계문학 #결혼 #편견 #독서카페 #리딩투데이 #리투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