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처 : 벨몬트 아카데미의 연쇄 살인
서맨사 다우닝 지음, 신선해 옮김 / 황금시간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티처: 벨몬트 아카데미의 연쇄 살인』은 잘못된 신념과 편견, 아집이 얼마나 무서운가를 보여주는 작품일거란 생각이 든다. 미국 동부에 위치한 명문 사립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는 우리나라와 별반 다르지 않은 미국 상류층 사회의 대학입학을 앞둔 가정의 아이비리그(명문대) 진학을 위한 치열하다 못해 지나친 교육열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하지만 다른 점이 있다면 그속에 스릴러가 존재한다. 벨몬트 아카데미는 재학생들이 아이비리그 진학을 목표로 하는, 어떻게 보면 학생보다 부모가 더 극성인 학교다. 좋게 말하면 자녀의 학점과 대학진학에 관심이 많고 나쁘게 말하면 선생님의 학점 평가에마저 개입하려고 하는 것인데 이것이 잘못 발휘될 때, 그리고 이런 부분을 지나치게 고집스러운 아집과 잘못된 신념을 가진 교사와 만날 때 어떤 최악의 상황이 그려질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벨모트 아카데미의 테디는 소신이 뚜렷하다. 부모가 지나치게 자식들의 일에 간섭하다 못해 자신이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학점이 만족스럽지 못하다 싶을 때 정중함을 가장한 당당함으로 더 높은 성적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요구한다.

테디는 이렇게 학생들이 부모덕에 뭔가를 이룬다고 생각한다. 더 많은 기회를 얻고 더 높은 성적을 받는다고 생각하고 그것은 자신의 교육 철학과 맞지 않기에 오히려 그런 학생은 테디의 기준에서 마이너스가 된다. 비록 과제가 A+를 받을만한 수준이라도.

최근에는 바로 잭이 그런 학생이다. 테디의 눈에 건방지고 부모 덕에 성적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고 더 많은 기회를 얻는다고 생각하는. 그래서 에세이 점수를 낮게 주었다. 그러니 당장 그의 부모가 번갈아가며 찾아와 그에게 잭이 보충하며 점수를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요구한다. 하지만 이것은 절대 테디의 교육철학과는 맞지 않는 행동이다. 

얼핏 보면 테디의 말이 맞는것 같다. 학생이 스스로 해야 하는 것이니 말이다. 처음에는 이런 극성스런 부모들 사이에서 신념을 지키기란 쉽지 않을텐데 대단한 티처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테디에 평가는 조금씩 달라진다. 잘못된 아집으로 생겨난 선입견이 오히려 정확하지 않은 추측성 판단으로 학생의 인생을 뒤틀어 버리고 있는 것이라면 그 학생의 인생은 어떻게 책임질 것인가.

작품에선 우리나라로 치면 학부모회 회장 격인 코트니라는 학생의 엄마 잉그리드가 살해되고 범인이 누구인지가 이미 밝혀진 상태로 시작된다.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이 사건을 둘러싸고 그들의 시선에서 이야기가 서술되고 독자들은 이미 알고 있는 뚜렷한 살인범을 응징하려는 구도보다는 주요 인물들간의 관계와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벨몬트 아카데미 내 존재하는 학생, 교사, 학부모 사이의 여러 복잡한 상황들이 펼쳐지는데 이는 단순한 살인범 찾기의 스릴러를 넘어 인간이 가진 이기심과 악함, 나아가전반적으로 만연하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엄연히 존재할 것 같은 교육 현실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상당히 흥미로운 작품이라 생각한다. 

현재 이 작품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제작에 참여한 가운데 미국 HBO에서 드라마로 제작 중이라고 하니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