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의 냄새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49
김지연 지음 / 현대문학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에 걸렸다는 증상 내지는 휴유증으로 언급되었던 것이 냄새를 잘 맡지 못한다는 것이였다. 인간에게 있어 오감은 너무나 중요하다. 당장 어딘가에 아파서 오감 중 하나만 제대로 활용할 수 없어도 생활에서 불편함이 느껴진다. 그런데 월간 『현대문학』이 펴내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의 마흔아홉 번째 작품인 『태초의 냄새』는 인간의 여러 감각들 중에서도 후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때로 우리는 후각을 통해 과거의 어떤 기억을 떠올리기도 하는데 이 작품은 좀더 다양한 사례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흥미롭다. 게다가 그 이야기의 발단이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영된 이후에 부작용처럼 후각을 잃어버린 K라는 인물과 K를 둘러싼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라는 점에서 왠지 그럴듯한 소재라는 점이다. 
 

 

작품 속 K는 예민하기 보다는 왠지 '덤덤함'이라는 단어가 잘 어울리는 인물처럼 그려지지만 오히려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후에 후각을 잃게 되면서 일상의 냄새를 맡을 수 없게 되자 불편함을 겪게 된다. 그런데 다행이라고 해야 할지 이후 후각이 다시 돌아온다. 하지만 이는 더욱 큰문제가 되는데 돌아온 후각에는 악취까지 함께 온 것이다. 소음이 지속적으로 들린다고 생각해보라. 얼마나 고통스러운가. 그런데 악취다. 불쾌한 냄새인 악취가 계속 맡아진다. 심지어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집이 가장 악취가 많이 나는 공간이라는 점이 아이러니다.
 

 

냄새가 주는 행복한 경험, 기억, 추억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냄새가 나에게 불쾌감을 유발한다면 일상에서 냄새를 맡으며 악취가 함께 느껴지는 얼마나 끔찍한가 싶다. 이런 생활은 비단 당사자에게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주변인들도 이런 K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고 반대로 주변인들도 K의 이런 상황 때문에 혼란스럽고 곤란스러운 상황이 펼쳐질 것은 당연지사.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사람들이 조심을 함에도 불구하고 대중밀집도, 생활상들을 보면 언제 걸리든 한번은 걸릴 일이였다. 그렇기에 K도 걸리는데 그녀는 그 이후가 오히려 더 지옥 같은 나날들 속에 놓이게 되면서 그런 K의 변화로 주변인들 역시 겪게 되는 문제들도 함께 그리고 있는다는 점에서 후각이라는 인간의 감각을 이용해 다양한 인간관계 속 내재된 다양한 상황들, 문제들을 그려낼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놀라우면서도 색다르고 흥미로운 작품이였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