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집 - 대한제국 마지막 황족의 비사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잃어버린 집』은 독자들에게 『덕혜옹주』라는 작품으로 많은 사랑을 받은 권비영 작가님이 집필한 작품으로 어떻게 보면 조선의 마지막 왕실 가족 이야기였던 전작과는 연장선상에 있는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이번에는 마지막 황태자인 이은과 이구의 삶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나라를 빼앗긴 설움과 치욕은 비단 일반 백성에게만 있지 않았고 왕실 가족 역시 그러한 부분들이 고스란히 반영되었는데 역시나 영친왕으로 불렸던 이은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인 이은 역시 이방자 여사로 불린 마사코와 정략 결혼을 하게 된다. 

 

한 나라의 왕자였지만 일제강점기라는 상황은 왕자로 하여금 어느 것 하나 마음대로 할 수 없게 한 상황이였고 마사코는 그런 왕자의 고통스러운 삶을 아내로서 고스란히 지켜볼 수 밖에 없었다. 아내였으나 한편으로는 일본인이라는 이율배반적인 위치는 마사코에겐 그녀 나름대로 분명 힘든 순간들이였을거라 생각한다.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와 일본 황족의 딸의 결합이였던 두 사람은 사실 황태자가 어린 시절 일본으로 볼모로 떠났었고 일본에서 육사를 졸업하기도 했고 그리고 이후에는 순종의 승하이후 왕위를 이었고 그 과정에는 마사코가 있었다. 

 

소위 망한 나라의 왕세자이자 왕이 되었던 남편의 모습을 지켜보는 아내로서의 마사코의 심정도 이 작품에선 잘 묘사된다. 그리고 그녀의 눈에 비친 영친왕으로서의 삶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왕의 모습과는 분명 괴리감이 느껴지는 부분이 있다. 

 

그리고 이구의 삶이 함께 그려지는데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고 그곳에서 어떻게 보면 왕실을 잇는 삶과는 다른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모습은 이은이 이구만큼은 자신과는 다른 삶을 살기를 바랐던 그 마음도 알것 같다. 기구한 자신의 삶의 궤적을 따르지 않길 바라는 아버지의 마음일 것이다.

 

이야기는 그렇게 대한제국이자 조선왕실의 마지막 왕인 이은의 삶에서 그의 유일한 혈육인 이구의 삶으로 이어지고 이구가 미국에서 조선인도, 그렇다고 일본인도 아닌 미국여인과의 결혼을 한 뒤 해방 이후 이들 모두가 조선 왕실의 사람이였으나 배우자가 그렇지 못한 특수한 상황이였음을 두고 그들의 후계자에 대한 이야기가 오가던 걸 보면 참 시대적 상황이 만들어낸 묘한 상황이였을거란 생각도 든다. 

 

이은과 마사코, 이구와 줄리아. 한 명의 조선인과 일본인, 그리고 둘 사이의 혼열인 아들과 미국인 아내까지. 네 명의 기구하다고 해야 할지 아니면 시대적 상황이 만들어낸 다양한 국적의 대한제국의 황족들을 둘러싼 이야기와 그들의 이후 삶들이 역사적 아픔과 함께 잘 묘사된, 역시나 권비영이다 싶게 만들었던 그런 작품이였다. 아울러 왠지 이 작품도 영화화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