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녀를 위한 변론
송시우 지음 / 래빗홀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고 있는 전래동화을 보면 지금의 기준으로 봤을 때 심각한 범죄에 해당하는 내용들이 많다.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는 단순히 권선징악에 초첨이 맞춰져 있기엔 그 내용이 상당히 심각하게 느껴지는데 때로는 등장인물이나 주인공의 의사에 반하는 경우가 많고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충분히 재해석도 가능한 작품들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단편모음집이기도 한 『선녀를 위한 변론』 속 두 작품인 「인어의 소송」과   「선녀를 위한 변론」은 상당히 흥미로운 작품이다. <인어공주>에서 모티브를 따온 「인어의 소송」은 인어 공주가 물거품이 되는 것이 아니라 왕자의 죽음을 둘러싸고 과연 누가, 왜 왕자를 죽였는가, 특히나 최초 범인으로 몰린 인어 공주는 과연 진짜 범인일까를 밝혀가는 이야기이며 <선녀와 나무꾼>을 재해석한 「선녀를 위한 변론」은 나무꾼을 살해한 것이 용의자로 붙잡힌 선녀에 의한 것인지를 법정 스릴러인 셈이다. 

 

 

두 작품 모두 고대이지만 갑작스런 시간 균열로 인한 사법 시스템의 변화로 살인사건을 법정에서 유무죄를 다툴 수 있게 된 점이나 단순한 추정이 아닌 확실한 법정 증거 등으로 진범을 가릴 수 있게 된 상황이 전제조건으로 설정된다는 점이 상당히 흥미롭다. 그리고 진범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논리적 추리가 곁들여지기 때문에 독자들도 함께 추리해보면 재미있을것 같다. 

 

「누구의 편도 아닌 타미」와 「모서리의 메리」는 송시우 작가의 첫 번째 소설집이기도 한 『아이의 뼈』에 등장했던 임기숙이 다시금 등장해 사건을 추리하는 이야기라 작가님의 첫 번재 소설집을 읽어본 사람들에겐 더욱 재미있을 단편들이라 생각한다. 특히나 뛰어난 능력을 가진 탐정역으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과연 사건을 어떻게 풀어나갈지를 따라가는 묘미가 있으며 마지막 작품인 「알렉산드리아의 겨울」은 여덟 살 아이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는 열여덟 살 피의자 김윤주의 사건을 추적하는 이야기다. 

 

법정 스릴러, 진범을 찾는 전개와 그 과정에서 범인으로 의심되는 이를 둘러싼 진실공방이 펼쳐지는 구성은 독자들로 하여금 마치 그 상황을 지켜보는 느낌이 들게 하면서 각 단편 모두가 상당한 몰입감과 반전을 선사하고 있기에 더욱 흥미를 더하는 작품이라 생각한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