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칠리아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여행자를 위한 인문학
김상근 지음, 김도근 사진 / 시공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광객을 끌어당기는 멋진 풍경의 시칠리아에 대한 평소의 이미지를 생각하면 『시칠리아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는 지금까지 알던 시칠리아와는 전혀 다르다. 사실 시칠리아의 역사에 대해서는 모르기에 아마도 이 책이 내가 시칠리아의 역사를 제대로 알아볼 수 있는 기회였을 것이다. 

 

그런데 시칠리아와 인연이 있었던 것인지 이 책을 만나기 전 세계사를 다룬 한 TV 프로그램을 통해서 고대 그리스의 전쟁사를 본 적이 있는데 이때 그리스가 시칠리아를 점령했다는 사실, 그리고 이후 로마에 복속되었다는 사실을 만났는데 정말 처음 들어 본 말이라 이 책을 통해서 다시 이 부분을 접했을 때 좀더 자세히 그 과정을 만나볼 수 있어서 더욱 흥미로웠다.

 

 

그래서인지 표지 속 할아버지의 얼굴에 깊게 패인 주름살이 시칠리아의 고난과 역경을 보여주는것 같아 의미있게 다가온다. 책은 시칠리아에 원주민이 살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 무려 기원전 800년 때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이후 페니키아인의 등장과 그리스의 정복과 다시 로마에 편입되는 과정이 그려지는데 이후로도 정말 많은 외부 세력의 침략으로 인한 굴곡진 역사를 보인다. 이렇게나 많을 줄은 몰랐는데 프랑스와 독일, 스페인에 이어서 유럽의 사보이아, 합스부르크, 부르봉 왕조까지 이어지는데 연합군이 시칠리아에 왔던 시기도 있다. 

 

본토에 비해 작은 이 섬에 이토록 많은 외세가 침략과 점령을 했고 외부의 통치를 받았다는 사실이 놀라운데 그 가운데에는 마피아(마피아가 태어난 곳이라고 한다)도 한 부분 차지하고 있다. 참으로 많은 부침이 있었던 곳이구나 싶은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런 곳에서 삶을 살아내야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평소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시칠리아 원주민이 스스로의 역사를 만들기도 전에 가장 처음 등장한 페니키아인들로 인한 식민지배를 받았고 이후 마치 유럽의 흥망성쇠를 같이 하며 시칠리아는 무수한 침략과 통치를 받아 왔는데 그속에서 약탈당하고 유린 당하며 살아왔을 원주민의 삶은 감히 상상조차 하기 힘들다.

 

게다가 외세의 침략은 단순히 땅을 차지하는 것을 넘어 문화, 특히 당시로서는 상당히 중요하게 작용했을 종교의 개입도 있었기에 침략 세력이 바뀌면 그들을 따라 들어온 종교까지도 새롭게 바꾸며 적응해야 했을 것이고 이는 결국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요소였다는 점에서 더욱 힘들었을거란 생각이 든다. 

 

지금 시칠리아는 이탈리아 내의 휴양 섬이자 관광지로 유명하다. 하지만 만약 이 책을 통해 시칠리아의 굴곡진 역사를 알고 시칠리아를 찾게 된다면 여전히 풍요로움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는 이 섬과 이 섬을 지키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조금은 다르게 보일것 같고 동시에 그저 멋진 풍경과 멋진 건축물이라고 생각하고 사진으로 남기고자 했을 것들이 좀더 의미있게 다가오지 않을까 싶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