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자의 열대 인문여행 - 야만과 지상낙원이라는 편견에 갇힌 열대의 진짜 모습을 만나다, 2024 세종도서
이영민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리학자의 인문여행』의 저자 이영민 교수의 신작이기도 한 『지리학자의 열대 인문여행』은 전 세계의 열대 지역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가 점차 사계절에서 이러다 여름과 겨울만 남는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요즘 열대 기후 지역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이 상당히 기대되었던 책이기도 하다.

 

학창시절 열대지역에 대해 배웠지만 이제는 기억에서 사라지고 이미지상으로 떠올릴 수 있는 것이라면 덥고 습하다는 느낌이다. 이처럼 열대지역이라는 말이 낯설진 않지만 그렇다면 열대에 대해 이야기하라고 했을 때 제대로 이야기할 수 있는 부분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이 책은 먼저 열대라는 지역(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어떻게 보면 우리의 인식 속에 편견으로 자리잡고 있을 열대에 대한 이미지를 제대로 이해시키는 대목이기도 할 수 것이다. 특히 덜 문명화된 지역이라는 이미지, 그리고 덥다라는 이미지에 대한 단순화된 이미지를 넘어서는 내용은 꽤나 흥미롭다. 

 

아름답고 다채롭고 동시에 풍요롭기까지 하다는 열대의 자연을 보고 있으면 신비롭게 느껴지긴 한다. 어쩌면 이런 부분이 사람들에겐 (긍정적인 의미로) 여전히 열대를 지상낙원 같은 미지의 세계라는 이미지로 각인되는지도 모를 일이다.

 

열대 지역의 아름다운 환경에 대한 이야기 이후 그속에서 살았던, 그리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또 하나의 인류사인 동시에 문화사이기도 하며 동시에 세계사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겠다. 

 

 

인류 탄생의 기원지인 아프리카가 열대 지역에 속하고 유럽의 대항해 시대에도 등장했으며 다양한 문화가 혼재한 곳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열대라고 하면 왠지 아프리카나 남미 쪽을 떠올리게 하지만 아시아의 일부 국가들 역시 열대에 속하는 경우가 있음을 생각하면 의외로 열대란 이미지는 그렇게 멀지 않은 우리 가까운 곳에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많은 사진 자료들을 활용하면서 열대에 대한 다양하고도 흥미로운 이야기를 제대로된 정보를 토대로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마치 유익한 다큐멘터리를 재미있게 구성된 책으로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라는 생각이 들어 추천하고 싶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