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의 나라 조선 - 그 많던 조선의 모자는 왜 그렇게 빨리 사라졌을까?
이승우 지음 / 주류성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때 우리나라 양반들이나 쓰던 갓이 외국에서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다. 갓이라는 것이 참 묘하게 생겨서 은근히 매력적으로 다가왔던 것도 사실인데 이번에 만나 본 『모자의 나라 조선』은 그런 갓은 물론이거니와 의외로 지금은 실생활에서 사용이 거의 안된다고 봐야 할 것 같은 조선의 모자들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러게 참 신기한 것이 의복사나 역사적으로도 상당히 의미가 있을 조선시대의 다양한 모자들이 현재에 과연 얼마나 남아 있을까 싶을 정도로 우리나라의 전통 모자를 평소 우리가 쓸일은 별로 없다는 생각이 드는데 그건 아마도 이 당시의 모자는 다른 의복과 갖추어 입어야 오롯이 완성되는 것이여서가 아닐까 싶다. 

 

이 책에서는 조선의 모자에 대해 알아보면서 의복이나 장신구, 다양한 패션 소품들이 당시의 신분과도 직결된다는 점을 고스란히 보여주는데 이런 부분은 역사적 관점에서도 충분히 의미있는 내용이였으며 또 이런 조선의 모자를 우리의 관점이 아닌 외부인의 시선에서 바라보았을 때는 어떤 느낌이였을지를 만나볼 수 있었던 점도 꽤나 의미있는 시간이였다. 

 

굳이 조선의 모자를 테마로 왜 글을 썼을까 싶은 이유는 바로 조선이 모자 왕국이 될 수 있었던 이유로 성리학, 다양한 의식, 500년 동안 한 나라의 지속성과 존속성에서 볼 수 있다는 점도 흥미로운 대목이였다.

 

 

그리고 뭐니뭐니해도 이 책의 제목을 보았을 때 기대했던 내용은 바로 조선시대에 있었고 사용했던 다양한 모자들에 대한 이야기, 앞서 언급했던 갓에 대한 좀더 자세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어서 나조차도 알지 못했던 우리나라의 모자들 그리고 갓의 매력과 특징, 역사를 만나볼 수 있어서 좋았던것 같다. 

 

이렇게나 다양하고 의미있었던 모자들이 사라진 이유는 어쩌면 변화하는 시대, 앞서 언급한 대로 모자가 신분의 상징과도 같았던 시대에 신분제가 폐지되고 새로운 문물이 들어오면서 점차 그 설자리를 잃어갔던게 아닐까 싶다. 

 


모자 하나에 이렇게나 많은 이야기들이 있었다는 사실, 그속에는 우리의 역사와 문화, 시대의 변화까지 담아내고 있다는 사실이 너무나 흥미로웠고 특히나 실제 다양한 모자의 모습을 실물 사진으로 보면서 그 이야기를 읽어볼 수 있어서 더욱 의미있었던 책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