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 - 자유와 분열의 이탈리아 잔혹사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하인후 옮김 / 무블출판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키아벨리라고 하면 단연코 『군주론』이 가장 먼저 떠오를 것이다. 사실 이 책이 워낙에 유명해서(완독과는 별개로) 그외에 어떤 책을 썼는지는 더 말하라고 하면 자신있게 말하기 힘들 정도인데 그가 피렌체사의 역사를 썼다고 하는데 무블출판사에서 출간된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 

 

멋스러운 표지가 인상적으로 다가오는 이 책은 지금의 이탈리아로 오기 전, 로마제국의 멸망을 단순하기 그리지 않고 우리가 크게 인식하고 있지 않았던 역사를 담아내고 있는데 어느 나라나 이전의 국가가 몰락하고 새로운 국가가 들어서기까지 일종의 과도기처럼 혼재하는, 그러면서 동시에 서서히 몰락해가는 그렇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그 당시의 모습이 남아있기도 한 부분이 존재하기 마련인데 그 모든 이야기를 한 권의 책에 담고 있는것 같다.

 

 

책의 초반에 보면 무려 이 책을 자필 원고가 실려 있다. 그리고 책 곳곳에서는 내용과 관련한 사료들을 만나볼 수 있는데 이는 내용을 이해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된다. 

 

지금의 이탈리아로 오기 전, 로마제국의 멸망을 단순하기 그리지 않고 우리가 크게 인식하고 있지 않았던 역사를 담아내고 있는데 어느 나라나 이전의 국가가 몰락하고 새로운 국가가 들어서기까지 일종의 과도기처럼 혼재하는, 그러면서 동시에 서서히 몰락해가는 그렇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그 당시의 모습이 남아있기도 한 부분이 존재하기 마련인데 이 책은 그 모든 이야기를 한 권의 책에 담고 있는것 같다.

 

우리나라도 한 나라가 망하고 새로운 나라가 들어설 때 나라에 나타났던 현상이 지도층의 몰락, 사치, 향락, 외세의 칩임 등이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외적인 요인보다는 안에서 서서히 곪아가는 요인이 더 컸을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런 부분은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에서도 고스란히 반영된다. 

 

사회 지도층이였던 귀족들은 사치와 향락, 탐욕을 보였고 소위 파벌주의가 팽배했다. 이 정도면 금방 망해도 이상하지 않았을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그렇지 않았던 이유로 마키아벨리는 피렌체에서 찾고 있다. 

 


피렌체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메디치 가문과 관련한 이야기도 이 책을 통해 당시의 이탈리아 상황과 맞물려 보다 더 자세히 읽을 수 있으며 그 이후 군주제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역사를 만나볼 수 있는데 흥미로운 점은 바로 이 피렌체사의 변화 속에서 우리는 공화제와 군주제의 차이, 각 정치제도의 장단점이나 변화 과정을 볼 수 있다는 점도 이 책이 가지는 의의라 생각한다. 

 

책 속에는 상당히 많은 역사적 자료, 그 시대를 알 수 있는 지도, 부가 설명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서는 주석이 달려 있을 정도로 방대한 양을 선보이지만 그 이상으로 당시의 로마와 피렌체의 역사와 시대적 상황을 잘 알 수 있는 책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새삼 마키아벨리가 이런 책을 썼다는 점이 놀랍기도 했지만 그의 출신 성분(피렌체에서 태어났고 몰락한 귀족의 자제였다)이나 그가 피렌체에서 맡았던 사회적, 정치적 지위, 또 『국부론』을 통해 주장했던 바들을 토대로 한다면 마이카벨리이기에 이 책을 쓸 수 밖에 없었던 시대의 역작이라고 말할 수 있을것 같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