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사회학적 읽기 - 우리는 왜 그 작품에 끌릴까
최샛별.김수정 지음 / 동녘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이란 대중, 그리고 사회에 영향을 주기도 하고 받기도 한다. 특히 사회를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작품들, 특히나 우리에게 익숙한 예술 작품들을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는 『예술의 사회학적 읽기』가 상당히 흥미롭게 느껴진다. 

 

몇 해전 노벨문학상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문학상이라고 하면 당연히 유명 문학가가 받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밥 딜런이라는 대중음악가가 선정되었던 것이다. 이를 두고 문학상 수상자가 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쟁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생각하는 고정관념을 벗어는 계기가 되어주기도 했을 것인데 최근 예술이라는 분야에 흔히 말하는 아이돌이라고 부를 수 있는 대중가수에 대한 인식 여부도 어쩌면 이런 경우가 아닐까 싶다. 

 

 

이제는 아티스트라고 불러도 좋을 가수들이 분명 있기 때문이다. 변화하는 사회에 따라 예술의 기준도 분명 달라지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 책은 예술이라고 했을 생각할 수 있는 그림이나 음악 등을 넘어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를 예를 들어서 예술사회학을 들여다보고 있다.

 

그래서인지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하고도 유명한 그림도 있지만 영화나 아이돌의 대중음악, 심지어 패션쇼에 대한 이야기까지 담아내고 있다. 
 

 

이런 다양한 예술의 장르들이 과연 사회 속에서 어떤 역할을 했고 어떤 집단이 향유했으며 그로 인한 사회적 현상은 어떠했는가를 알아보는 점이 흥미롭다. 왜 그 예술이 사회적으로 인기인가를 생각하면 그 사회의 현상을 분석하는데에도 도움이 될 수 밖에 없다. 

 

하나의 예술 장르를 소비하는 주 소비층의 변화는 특히 그렇고 또 어떤 장르가 새롭게 생겨나는 과정 역시 사회학적으로 접근했을 때 흥미롭게 느껴진다. 생겨날 수 밖에 없었던 내지는 생겨나게 만든 사회 분위기 등을 알아가는 묘미가 있는 책이기 때문이다. 

 

자칫 딱딱할 수 있는 이야기를 재미난 소재로 너무 무겁지 않게 독자들의 흥미를 자아내면서 풀어가고 있고 관련 전문가들의 코멘트도 담아내어 예술과 사회의 연관성과 상호작용, 영향력 등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에겐 좀더 깊이있는 예술사회학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예술의사회학적읽기 #최샛별 #김수정 #동녘 #사회학 #걸작 #취향 #예술을보는눈 #예술사회학 #예술사회학가이드북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