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섹타겟돈 - 곤충이 사라진 세계, 지구의 미래는 어디로 향할까, 2023 세종도서 교양부문
올리버 밀먼 지음, 황선영 옮김 / 블랙피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꿀벌 대소동>을 보면 마치 지금의 지구를 예측이라도 한 듯한 이야기가 나온다. 꿀벌들이 더이상 일(꿀을 생산하지 않는다)을 하지 않았을 때 세상에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를 보여주는데 최근 전세계적으로 꿀벌의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고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질 경우 인류 종말을 예측하기도 했을 정도로 그 문제는 심각하다. 

 

그런데 이번에 만나 본 『인섹타겟돈』은 곤충의 아마겟돈 즉, 곤충의 종말을 의미하는데 기후 변화를 통해서 생태환경에 문제가 발생하고 이것이 또다시 곤충의 종말로 이어지면서 과연 생태계 전체에는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4억 년의 역사를 지내오는 동안 점점 곤충이 소멸 사태에 이르면서 나타나는 문제들은 정말 충격 그 자체이다. 
 

 

쉽게 말해 생태계의 먹이사슬이 서서히 무너진다고 봐야 할 것인데 가까운 예로 새가 먹이로 잡아먹는 곤충이 없다면 새가 멸종하고 그 새를 먹이로 하는 생물종이 사라지며 인간 역시 다양한 과일, 야채, 식량 등의 식자재가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다양한 실험, 실제적인 이야기, 그리고 과학적인 인과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일련의 악영향을 보고 있노라면 미래에 식량자원이 부족하다고 했을 때 곤충을 식량화하는 것도 방법이라며 이에 대한 연구를 하는 사례를 본 적이 있는데 이렇게 곤충을 키워내는게 과연 가능할까 싶으면서 이미 멸종을 막기에 늦어버린 것은 아닐까하는 우려의 생각도 든다.

 

 

인간이 그동안 발명하고 발전시키고 그 과정에서 해결해 온 다양한 문제들을 보면 인간이란 종은 참 신기하고도 놀랍다는 생각을 하는데 점점 더 많은 종들이 멸종의 위기에 놓이는 가운데 곤충의 멸종이라는 충격적인 상황 앞에 과연 인간은 이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낼 수 있을까하는 점 또한 주목하게 되는 것도 사실이다. 

 

다양한 생물종의 멸종이 점점 더 빨라지고 있고 그 멸종에 인간이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고 그 어느 때보다 멸종의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이 책은 결국 뻔한 이야기 같지만 이보다 더 현실적으로 인간의 식량, 굶주림, 생존과 이어지는 문제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기후문제보다 더 크게 와닿는 이야기였던것 같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