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강머리 앤 인문학 - 세상에 단 하나뿐인
박홍규 지음 / 틈새의시간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캐릭터가 빨강머리 앤이다. 어릴 적 TV 앞에 앉아 만화영화를 보던 생각이 난다. 난 왜 그렇게 앤에 빠져들게 되었을까? 가만히 생각해보면 앤은 세상을 구하지도 않았고 여느 만화 속 주인공처럼 대단한 능력자도 아니였으며 딱 주인공이다 싶게 엄청난 미모의 여성 캐릭터도 아니였다. 

 

오히려 정반대인데 고아에, 삐쩍마른 몸에, 제대로 교육을 받지도 못했고 얼굴은 주근깨가 있고 머리는 드물게 빨강색이였다. 게다가 말괄량이에 가까운 성격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낙천적인 성격, 어떤 상황에서도 자존감을 잃지 않는 모습이 너무나 당당해보였다. 자신이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었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을 행했고 실제로 쟁취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커가면서 주근깨가 사라지고 성격이 차분해지면서 말괄량이 같은 모습은 사라졌지만 외모가 극적으로 아름다워지지는 않는다. 딱 어린 앤이 자라 어른이 된 느낌이랄까. 만화인데도 실존할것 같은 느낌의 앤을, 그 앤에 대한 이야기를 다양한 인물들이나 문학 작품들과 연결지어 이야기하고 있는 책 『빨강머리 앤 인문학』을 보았을 때도 앤에 대한 애정으로 거의 모조건 반사에 가깝게 읽어보게 되었는데 책은 묘하게 빠져든다. 

 

영국의 故 다이애나 황태자비와 빨강 머리 앤의 연관성이나 『인형의 집』 속 주인공인 노라와 앤을 비교한 부분도 흥미롭다. 그리고 앤의 작가인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생애와 관련한 이야기도 앤의 팬이라면 관심있게 볼 부분이다. 

 


앤이 살았던 에이번리를 연상케 하는 프린스에드워드섬이나 그녀가 섬에 살다 결혼과 함께 육지로 나가 살았고 그 이후 어떤 삶을 살았는가와 같은 이야기는 사실 다소 생소한 부분도 많아 더욱 그랬다.

 

또 원작 자체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영상화를 통해 넥플릭스에서 방영되었던 드라마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로운데 사실 드라마의 경우에는 오래 전 EBS에서 방송된 드라마를 본게 전부여서 이 부분에 대해선 더욱 관심있게 보았던것 같다. 

 

당시의 시대상이나 어린 앤에서 선생님이 되어 에이번리로 돌아왔던 앤 이후의 앤 이야기는 조금은 낯설게 느껴지는 나에게 이 부분 다음의 이야기들은 확실히 생소하면서도 그래서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아가는 부분도 있었던 내용이라 빨강 머리 앤의 팬으로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였다. 

 

처음 선택은 '빨강머리 앤'이라는 부분에 더 눈길이 가서 선택한 책이였지만 앤에 대해, 앤과 관련해 몰랐던 이야기들을 더 많이 알게 된 기회여서 빨강머리 앤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읽어볼 가치가 충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