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의 흑역사 - 아름다움을 향한 뒤틀린 욕망
앨리슨 매슈스 데이비드 지음, 이상미 옮김 / 탐나는책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티켓이란 말과 하이힐의 탄생하게 된 배경을 보면 지금 우리에게 있는 이미지와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결을 같이 하는 이야기가 바로 『패션의 흑역사』이다. 미를 향한 욕구를 넘어선 욕망은 어느 시대에나 있어 왔고 때로는 이것이 권력과 맞닿아 있기도 했으며 필연적으로 돈이 되는 아이템이기도 했었다. 

 

하지만 그 이면에 감춰진 아름다워지기 위한 패션 아이템들을 둘러싼 제작자들, 그리고 아이템 그 자체에 담긴 욕망의 결과물은 때로는 인간의 신체에 위협을 가하기도 했었는데 이 책을 보면 그런 이야기들이 실질적이고도 다양한 이미 자료들과 함께 만나볼 수 있어서 한편으로는 신기하기도 했던것 같다. 



 

의복이 단순한 신체 보호의 수단을 넘어 멋과 유행을 척도처럼 되어버린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소위 유행하는 패션에 관심을 둘 수 밖에 없는데 이 책에서는 패션으로 인해 발생한 죽음을 둘러싼 이야기를 담아냄으로써 다양한 패션 아이템들과 관련된 역사를 볼 수도 있는 반면 그 이면에 감춰져 있던 문제적인 부분도 알려준다. 

 

특히 옷을 만드는 업계에 종사했던 사람들의 열악한 환경 그리고 인한 건강상의 문제, 나아가 그렇게 만든 옷에도 종사자만큼이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병균이 존재했다는 이야기는 실로 놀랍기까지 하다. 위생상태가 열악했고 노동 환경이나 근로기준법 등과 같은 것이 지금과 같을 수는 없으니 어느 정도는 감안한다해도 이 책 속에 등장하는 이야기들은 충격적이다. 

 

게다가 납이나 수은 중독, 비소와 같은 독극물이 쓰여졌다면 그 결과는 어떻겠는가... 서서히 중독되고 서서히 인간의 몸에 축적되어가는 상황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책은 착용하는 사람이나 만드는 사람이나 모두에게 치명적이였음을 보여준다.

 

그래도 이런 문제들을 개선하려는 부분이 있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화장품을 만드는데에도 동물실험을 규제하거나 아니면 가죽 제품이 아닌 대체 재료를 활용한 제품들이 나오는 걸 보면 점차 진짜 아름다움을 담아낸 패션을 볼 수 있게 하는 것 같아 다행이다 싶은 마음이 든다. 

 

많은 이야기들이 125컷이 넘는 이미지 자료와 함께 소개되는데 그런 이야기들 중에서도 눈길을 끌었던 것은 홀로코스트다. 유대인 학살과 관련한 단어로만 알고 있었는데 패션과 관련해서 보게 될 줄이야. 이는 엠마 리브리라는 발레 무용수의 발레복과 관련한 이야기였는데 그 내막을 보면 왜 이 단어가 유대인의 학살과도 연결되는지 절로 이해가 된다. 책은 이처럼 단순한 흥미로움을 넘어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알 수 있었던 기회가 되기도 할 것이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