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역사 - 시대를 품고 삶을 읊다
존 캐리 지음, 김선형 옮김 / 소소의책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의 한 장르의 시 역시 순수 창작의 영역으로서 머물러 있는 경우도 있겠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시대 저항, 역사적 사명감, 그리고 창작자의 의견을 절실히 반영하기도 했다. 전자의 경우도 그 가치는 있을테지만 보통 후자의 경우 우리는 문학사에 있어서 많이 다루고 또 그속에서 창작자가 무엇을 담고자 했는지, 어떤 메시지를 사회와 대중에 던지고자 했는지를 분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시험 역시 이런 시들이 많이 등장했던것 같다. 

 

그럼에도 시는 각 시대별로 유명하다 여겨지는 시들 중 대표작들 몇몇을 배웠던게 사실이라 『시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하나의 단행본으로 만나본 적은 없었던것 같아 이 책이 상당히 흥미롭게 느껴졌다.

 

 

이 책은 제목에 걸맞게 고대 서사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중세, 근현대까지 오며 유럽, 미국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살펴보고 있다. 사실 문학작품을 감상을 넘어 분석을 한다는 것이 그 취지에 맞는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알고보면 모르고 보는 것보단 그 시구의 선택, 문장이 담아내고자 했던 메시지를 제대로 알 수 있을거란 생각도 하기에 궁금한 분들에겐 상당히 의미있는 책이 될거라 생각한다. 

 


특히 책 속에는 각 시대별 유명한 시들이나 그 시대의 시가 주로 담고자 했던 메시지와 관련한 시들을 만나볼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의미있는데 이번 기회가 아니면 이런 시들을 어떻게 한 권으로 만나볼까 싶은 생각도 들었기 때문이다. 

 

또한 시 속에는 시를 창작할 당시의 주요 사건을 만나볼 수도 있다. 어떻게 보면 신문의 사설보다 더 냉철한 비판적 논조가 담겨져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상당히 직접적인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 풍자와 해학이 남겨져 있기도 하다. 시가 담고자 했던 의미면에서, 그리고 시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주제를 만나보고 그런 시를 창작했던 시인의 이야기를 함께 만나볼 수 있는 책이기도 한데 개인적으로는 고등학교 시절 시집을 좀 읽어서인지 적어도 이름은 아는 시인들이 많아서 책을 읽는 묘미도 있었던것 같다.

 

하지만 그들의 시는 확실히 낯설어서 이번 기회를 통해 그래도 익숙한 세계적인 시인들이 자신이 살았던 시대에 자신의 무기와도 같았던 시의 창작활동을 통해 무엇을 말하고자 했는지를 알 수 있었던 기회여서 더욱 좋았던 책이다. 

 

설령 누군가에겐 이 책이 상당히 낯설게 느껴지는 시인들이 많다고 해도 시라는 것에 대한 이 책은 시대의 흐름에 따른 시의 변천사, 시의 내용에 대한 해석, 그리고 시인에 대한 이야기까지 어렵지 않으면서도 가볍지만은 않게 잘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히 흥미를 갖고 읽어볼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