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로 산다는 것 - 가문과 왕실의 권력 사이 정치적 갈등을 감당해야 했던 운명
신병주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엄연한 반상의 도리가 있던 왕조시대, 왕족이나 권력 있는 양반이라고 하면 그래도 그 시대에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는 살기가 좋았을거라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나 또 자세히 보면 권력을 중심에 있다가 멸문지화를 면치 못하는 경우도 있고 한순간에 노비로 전략하거나 목숨을 잃기도 하는데 과연 실제 왕족이였던 사람들은 어떨까?

 

그중에서도 왕비의 삶이란 어떠했을까? 왕비는 왕과 함께 대등한 느낌을 주는것 같지만 실상은 『왕비로 산다는 것』이란 신병주 작가의 책을 보면 차라리 여념집 여인의 삶보다 못할 수도 있겠구나 싶은 생각을 해본다.

 

왕의 정비로 궁궐에서 내명부를 책임지지만 철저히 권력과 역사의 주변인으로 살면서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폐위되거나 죽거나 했던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기 때문이다. 왕이 아무리 많은 후궁을 두어도 투기해서는 안되며 때로는 개국 공신이나 다름없어도 권력 강화를 위해 자신은 물론 가문 전체가 죽임을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왕비라고 다를게 없어서 출산 과정에서 죽기도 하고 왕이 폐위되면서 자동으로 함께 폐위되어 생계를 위해 옷감을 염색하는 일을 하면서 살아야 했던 경우도 있다.

 

그중에는 영의정이였던 아버지의 권세(한명회)로 언니에 이어서 왕비(공혜왕후 한씨)가 된 경우도 있었지만 그 유명한 폐비 윤씨처럼 사약을 받고 죽은 경우도 있었고 드물게 왕실에서 수렴청정(정희왕후 윤씨)과 같이 권력의 중심에 선 경우도 있었음을 이 책은 알게 한다.

 

남들이 볼 땐 왕비로 간택되니 소위 인생역전이 아닐까 싶지만 어느 시대나 얻는게 있으면 잃는게 있고 주어지는 것이 있으면 그 이상의 역할도 존재하는 법. 왕실의 법도에 따라 구중궁궐에 있는데 바라볼 이는 왕 한명 뿐이라 왕의 총애를 두고 투기를 하거나 궁녀와의 문란 등으로 쫓겨난 경우도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역사 속 왕들 중에서 유독 사연이 많아 사극으로도 많이 제작된 왕들이 몇 있는데 그중 폐비 윤씨와 관련된 연산군이 있다. 그리고 연산군의 왕비인 폐비 신씨는 안타깝게도 바로 그 이유 때문에 폐비가 되니 참 연산군을 둘러싼 이야기가 드라마의 단골 소재인 이유를 알것도 같다.

 

당시의 시대적 특성상 여성의 목소리가, 특히나 혼인에 있어서 자신의 의지가 반영될리 만무한데 왕비 역시 그러했고 때로는 그들의 죽음 이후의 예와 관련해서 궁궐에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고(장렬왕후 조씨), 점차 몰락해가는 조선왕조 500년 역사의 마지막을 함께 했던 왕비들의 이야기도 나온다.

 

일제의 만행, 그리고 그녀 자신을 둘러싸고 엇갈리는 시선이 존재하는 명성황후 민씨는 물론 조선의 마지막 왕비였던 순정황후 윤씨까지...

 

그동안 왕들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만나보았지만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조선의 왕비를 일목요연하게 만나본 것은 없는것 같아 흥미로운 책이였다. 왕실의 일원이였지만 어떻게 보면 가문과 왕실 권력 사이에서 그 누구보다 존재가 위태로웠을지도 모를 사람들이 왕비가 아니였을까 싶다.

 

왕과 참모에 이은 왕비에 대한 이야기, 바로 조선시대에 관한 최고 전문가로 불리는 신병주 교수가 풀어낸 조선 왕비에 대한 역사. 그저 실록의 한켠을 차지하는 존재였을지도 모를 그녀들의 삶을 이렇게 만나보니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왕이나 유명한 신하나 사건의 시점이 아닌 좀더 다양한 각도에서 조선 왕조사를 만나볼 수 있어서 흥미로웠던것 같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