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후의 만찬 -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서철원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목도 표지도 딱 문자 그대로 『최후의 만찬』이다. 이 작품은 제9회 혼불문학상 수상작품이라고 하는데 쟁쟁한 작품들을 제치고 최종심에 오른 4편 중 최종적으로 수상작으로 선정된 작품이라는 점에서, 게다가 이토록 상징적인 제목을 표지로 쓴 이유에서, 여러모로 궁금했던 작품이기도 하다.

 

이 책은 종교적인 이야기를 담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배경은 1791년, 당시는 정조가 즉위한 지 15년이 되던 해였다. 유교사상이 지금도 대한민국 곳곳을 지배하고 있는 요즘, 아예 유교가 국교라고 할 수 있는 조선시대에 무려 신주를 불태우고(사실 이것도 엄청나게 충격적인 일일테다) 더 나아가 천주교식으로 제례를 지냈다니 놀랍기 그지없는 그 일이 전라도에 사는 윤지충과 권상연에 의해서 일어난다.

 

이는 아마도 사회적으로 불충을 넘어서는 심각한 일이였을것 같은데 역시나 두 사람은 이 일을 이유로 처형당하게 된다. 아이러니하게도 바로 이러한 일로 인해서 두 사람은 우리나라 최초의 순교자가 된 것이다.

 

지금처럼 미디어가 발달한 시대가 아니나 분명 제사를 지내는 양반가는 물론 조정에는 파란을 불러일으켰으리라 생각한다. 이에 정조는 이 일을 조사하고 바로 그 과정에서 윤지충의 집에서 표지에 나오는 바로 그 그림. 종교를 떠나 모르는 사람이 없을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최후의 만찬>을 발견하게 된다.

어떻게 보면 이 그림은 불온한 것이다. 당연히 윤지충의 죄를 물었던 것처럼 마땅히 조선에서 없애버려야 할 것이나 오히려 정조는 이 그림에 주목하게 되는데...

 

조금씩 변화하는 조선. 지리적으로 유럽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으나 이미 천주교식 제례를 지내는 이가 있고 소위 서학이라 불리는 것이 유학과 대적하게 된 상황에서 마냥 이를 배척하기 보다는 정조는 나라에 닥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삼았다는 사실이 상당히 색다른다.

 

아마도 이런 발상은 지금껏 우리가 한국사를 배워오면서도 접하지 못했던 내용이고 그동안의 이런 비슷한 소재를 활용한 소설 속에서도 보기 드물었던 내용이라는 점에서 신선했고 그래서 더욱 혼불문학상을 수상하게 만든 요인이 아니였을까 싶다.

 

게다가 책속에 등장하는 시대나 사건, 인물들이 실체적인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흥미롭게 작용하지 않았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