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린느 메디치의 딸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박미경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세시대의 왕국간(나라간)의 정략결혼은 새삼스럽지 않은 일이였다. 때로는 자국의 왕권을 보호받기 위해서라든가 아니면 강화하기 위해서일 때도 있었고 또다른 경우에는 상대국을 견제하기 위해 마치 우리나라의 상수리제도마냥 자식을 볼모로 삼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왕권을 위해서라면 친인척 끼리도 결혼을 했을 정도니 말이다. 이 경우 보통 문제가 되는 것은 결혼 당사자간의 감정일텐데 다행히도 서로에 대해 내밀하게 알진 못하더라도 사랑까지는 아닐지라도 서로간에 호감을 갖고 예의를 갖춘 결혼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래도 다행이였을거란 생각이 든다.

 

그렇기에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은 바로 그런 시대를 반영한 작품이다. 프랑스 왕실의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는 나바르의 왕인 앙리 드 나바르와 결혼식을 올린다. 이들의 결혼은 앞서 이야기 한대로 둘만의 사랑의 결실이라기 보다는 마르그리트의 어머니인 모후 카트린느 메디치가 세운 일종의 계략이다.

 

샤를르 9세의 섭정이기도 한 카트린드 메디치에게 있어서 딸은 왕권을 지키기 위한 도구로 쓰였다고 하면 지나친 표현일까? 신교도 몰아내기 위해 그 수장인 앙리마저 제거하기 위한 방편인 셈이기 때문이다.

 

이런 계략에도 불구하고 마르그리트는 모후의 편이 아니라 앙리의 편에 서고 여기에 앙리 또한 가만히 앉아서 당하고 있지만은 않음으로써 어찌보면 뻔한 구도로 이어질 수 있는 스토리는 아슬아슬함을 보여주는 중세 궁중 스릴러 형식을 띄며 독자들을 사로잡을 것이다.

 

아마도 대중에게는 『카트린느 메디치의 딸』이라는 소설보다는 영화 <여왕 마고>의 원작이라고 하는 것이 더 이해가 빠를것 같긴 하다. 비록 영화를 제대로 본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이 영화의 충격적인 포스터만큼은 잊혀지질 않기 때문이다.

 

알렉상드르 뒤마의 작품 대부분이 영화로 제작된 것을 보면 그의 작품은 확실히 시대적인 배경이 도드라지나 그속에 담긴 내용은 현대적인 감각과도 뒤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번 작품 역시 상당히 흥미로웠던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