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3 : 세종·문종·단종 - 백성을 사랑한 사대부의 임금 조선왕조실록 3
이덕일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왕조실록이라고 하면 역사상 유래가 없을 정도의 기록물이다. 그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왕조차 살아생전 볼 수 없었다는, 그래서 더욱 놀라운 기록물로 이런 기록물을 현대인들이 보다 쉽게 하지만 원본에 충실하되 간략하게 축약하지 않고 읽기란 또 쉽진 않다.

 

그렇기에 다산초당에 출간된 이덕일 작가가 선보이는 『조선왕조실록』시리즈는 너무나 의미있게 다가오고 또 이런 기회를 통해서 제대로 읽어볼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의미있지 않나 싶다.

 

저자는 그동안 많은 저서를 통해 우리 역사를 중국사관이 철저한 고증을 통해서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노력해왔는데 그 노력의 결실이 바로 이 책(시리즈)인 것이다. 무려 10년간의 구상과 5년 간의 집필이라니 피나는 노력의 결정체이기도 하다.

 

시리즈 1권 ‘태조’ 편과 2권 ‘정종·태종’ 편에 이어서 3권에서는 총 세 명의 왕을 담아내는데 그 주인공은 바로 ‘세종·문종·단종’ 편이다. 역사서임에도 결코 어렵지 않고 읽기에도 부담스럽지 않는 것이 상당히 편안하게 읽혀서 좋다.

 

세종이라고 하면 역사상 최고의 성군이라 일컬어지면 후대에서도 그만큼 많이 언급되고 세종의 리더십이 화제가 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3권에서 보게 되어 더욱 반가웠다. 세종이 모든 면에서 완벽했다라고 말할 순 없겠지만 그가 주목받고 훗날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추앙받는 것은 아마도 왕권시대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백성을 위한 여러 정책들이였을 것이다.

 

지금 봐도 놀라운 정책들,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하는 일들, 게다가 지금 이렇게 내가 쓰고 있는 한글이라는 우수한 문자까지.

 

책을 통해서 우리는 세종이 집권할 당시의 상황, 이후 백성 중심으로 펼쳐지는 다양한 정책들을 만나볼 수 있다. 그리고 이어서 나오는 문종은 다소 짧게 끝나는데 그가 어떤 의미에서 준비된 임금이였는가를 되짚어 보고 문무를 겸비했던 그가 역사 속에서 빨리 사라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와 그로 인한 영향도 책을 통해 자세히 만나볼 수 있다.

 

아울러 마지막으로 나오는 단종. 단종은 참 안타깝다. 역사 속에서 세종이 성덕, 최고의 리더로써 주목 받는다면 단종은 좀 안타깝다고 해야 할지, 비운의 주인공으로 그려지기도 한다는 점에서 어찌됐든 화제성은 지니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책에서는 이런 이야기들을 그저 감정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보다 객관적인 사료와 철저하고 세심한 고증을 통해 바라보기 때문에 이번 기회를 통해 조선왕조실록 속에 자리한 단종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