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플 때 읽으면 위험한 집밥의 역사 - 맛깔나는 동서양 음식문화의 대향연
신재근 지음 / 책들의정원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분위기가 한풀 꺾였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먹방과 쿡방에 대한 열풍이 지속되고 있다. 아마도 자칫 이런 열풍이 시들해질 수 있었던 순간 혼밥과 집밥이라는 키워드가 뜨면서 이 분위기가 당분간은 지속될것 같은데 인간에게 있어서 먹는다는 것은 생존과도 직결되는 본능이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요리 그 자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다양한 콘텐츠의 방송이 제작되면서 더욱 그러하다.

 

그런 분위기에 한 몫하고 있는 배고플 때 읽으면 위험한 집밥의 역사』는 우리가 평소 먹었던 음식들, 좋아하는 음식들, 그리고 그 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에 이르기까지 누구라도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는 음식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좋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집밥'이라는 키워드가 아무래도 책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고 있는게 사실인데 이것이 단지 우리나라의 집밥만이 아니라 외국, 그 나라의 집밥이라고 불러도 될만한 대표적인 음식까지 담고 있기 때문에 더욱 괜찮은 구성이다.

 

음식이라는 것은 사람 사이의 관계를 돈독하게 해주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소중한 사람들, 친근한 사람들, 그리고 중요한 거래를 앞두고 있는 사람들에 이르기까지. 그들과 함께 음식을 공유한다는 것은 분명 단순히 밥을 먹는다는 의미 이상을 가질텐데 책을 보면 이런 다양한 음식들에 대한 역사와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해서까지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장 먼저 나오는 떡국에 대한 이야기를 보면, 새해가 되면 한 살을 더 먹는다는 의미로 우리는 어느 때부터인가 떡꾹을 끓여서 먹기 시작했는데 그렇다면 언제부터 그랬을까에 대한 궁금증을 가졌던 사람들에겐 무려 삼국시대 때부터 병탕(餠湯)을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니 놀랍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인 떡국, 김, 김장, 불고기 등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으로 해외의 유명한 음식들이 타이 요리나 스페인의 타파스, 하몽, 피자와 햄버거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중적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학술적이지 않아 좋다.

 

게다가 우리나라에 있는 음식과 해외의 비슷한 음식을 비교하고 있거나(족발과 슈바인스학세), 누군가에겐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요리(재료)에 대한 이야기(오이), 우리가 잘 알지 못하고 지나쳤던 음식에 얽혀 있는 다양한 사연들과 현재 인기 있는 식재료에 대한 이야기(아보카도, 카사노바의 굴에 대한 애정), 또 시대에 의해 생겨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음식들의 조합이나 어떤 음식에 대한 추억 등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찐빵에 단팥과도 같이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버린 치맥에 얽힌 이야기도 이 부분에서 나오는데 단순히 2002년 월드컵 시기에 등장했다는 이야기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프라이드/양념 치킨에 얽힌 역사(?)를 함께 담고 있기 때문에 읽을거리가 더욱 많아지는 느낌이다.

 

하나의 음식에 얽힌 유래와 역사, 그 당시의 사회적인 분위기나 그 음식을 즐길 당시의 문화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있다는 점에서 집밥의 역사라고 되어 있는 책이지만 (몇 가지의 음식에 한정되어 있긴 하지만) 보다 넓은 의미에서는 몇 가지 선정된 음식에 대한 전반적인 역사를 읽을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더욱 강하게 들었던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