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을 가로질러 - 밤, 잠, 꿈, 욕망, 어둠에 대하여
에른스트 페터 피셔 지음, 전대호 옮김 / 해나무 / 2018년 9월
평점 :
절판


밤은 대체적으로 어둡거나 그래서 은밀하거나 지나치게 감성적이거나 하는 등의 이미지가 먼저 떠오른다. 그래서 처음 밤을 가로질러』라는 책을 접했을 때 밤에 대해 이토록 과학적으로 또 인문학적으로 접근한 책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마치 밤이라는 무형의 대상을 마치 유형의 존재인것마냥 낱낱이 분석하고 있는것 같은 기분이 들어 한편으로는 신기하고 그 이상으로 흥미롭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마치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아니면 소설이나 에세이 같은 느낌의 책은 사실 인문학도서로 분류된다. 그리고 이 책의 저자를 보면 밤이라는 시간에 대해, 그리고 밤에 대해 어쩌면 이토록 철학적으로 어찌보면 다소 어렵게도 느껴지는 분위기의 책으로 쓸 수 있었나하는 것에 대한 의문이 풀리는데 저자인 에른스트 페터 피셔는 독일 태생으로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한 뒤 과학사 교수로 오랫동안 일했고 지금도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과학사를 가르치고 있으면 그가 쓴 다수이 책 역시도 자신의 전공분야인 자연과학을 소재로 하고 있으면서 동시에 인문학과의 경계를 오가며 어느 하나도 잘하기 힘든데 둘의 분야의 잘 융합된 가운데 언론과 독자들로부터 좋은 평을 받았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책은 저자가 그동안 보여 온 저력이 다시금 돋보이는 작품으로서 언뜻 낮과 대조적인, 양면성을 지닌 시간으로서 서로 상반된 이미지라고 여겼던 밤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재조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학적인 동시에 철학적으로까지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싶다.

 

밤이라고 생각했을때 저자가 생각하는 이미지, 그리고 대중적으로 떠올리는 이미지, 여기에 밤의 다양성을 잘 나타내기 위해서 저자가 선정한 저자가 다양한 키워드들이 합쳐져서 밤 그리고 이를 포괄하는 어둠이라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런데 이것이 단순히 감성적인 이야기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선 과학자다운 면모를 보여 가장 먼저 밤을 과학적으로 접근하면서 마치 천체물리학의 한 분야를 읽는것 같은 그야말로 자연과학사 교수답다는 생각이 들게 할 정도로 다소 전문성을 띄는 깊이를 보여준다.

 

그래서 독자들에 따라서는 첫장부터 밤에 대한 과학적 접근은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이 고비를 잘 넘기면 앞으로 나오는 이야기에서는 보다 인문학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수월하게 그리고 좀더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세계적인 문학가인 셰익스피어 등의 문학작품, 또는 모차르트 등의 음악 이야기, 밤과 연관해서 인간이 지닌 악의 측면에 대한 의학적인 관점에서의 접근 등이 나오기 때문이다. 게다가 책 중간중간에는 내용과 관련해서 명화가 수록되어 있어서 이를 감상하는 재미도 있다.

 

래서인지 이 책을 보고 있노라면 마치 밤을 주제로 한 한편의 종합예술을 보는것 같다는 생각될 정도로 책은 다양한 분야가 총망라하는, 저자의 높은 식견과 넓은 지식의 장을 만나게 되는것 같아 새삼 대단한 작가를 한 명 알게 되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