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산사 순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홍준 작가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너무나 유명한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는 그 명성만 들어보았을 뿐 아직 시리즈의 한 권도 읽어보질 못했기에 이번에 새롭게 출간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산사 순례』를 읽게 되어 너무나 반가웠다.

 

참고로 이 책은 기존에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시리즈의 국내편 10권에서 실린바 있었던 우리나라 전국의 '산사'를 다룬 글들을 발췌한 것으로 원문 그대로는 아니며 '산사'에 대한 부분을 수정하여 실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 생각해보았을 때 최근이라고 할 수 있는 지난 2018년 6월 30일에 바레인에서 열린 제42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우리나라의 산사 7곳이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이름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고 하는데 아마도 이를 기념해 출간된 책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참고로 앞서 이야기한 7곳에는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봉정사, 부석사, 통도사가 있는데 책에는 책에도 전부는 아니나 이 산사들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겠다.

 

 

 

 

 

 

 

보통 산사라고 하면 이름 그대로 산으로 둘러쌓인 곳에 자리한 사찰이라고 봐도 좋을텐데 이러한 산사가 생겨나게 된 배경을 보면 통일 신라 직후의 불교의 확산으로 의상대사가 화엄 10찰을 세운 것이나 선종 사찰이 세워졌던 것에서 그 유래를 찾고 있다.

 

산사를 목적으로 산을 오르는 사람들도 많을테고 산을 올랐다 그곳에 자리한 산사를 둘러보는 경우도 흔지 않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산사들에 대해서 자세히 읽어보고 기회가 된다면 가까운 곳부터, 찾아가보는 것도 휴식과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를 직접적으로 접해보는 좋은 시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10편의 시리즈 국내편에서 산사가 분명 이 책에 담긴 수보다는 더 많이 소개되었을것 같은데 그 가운데에서 고른 산사라는 점에서 어쩌면 전직 문화재청장의 안목으로 볼 때에도 꼭 소개하고픈 우리의 귀한 문화재가 아닐까 싶은 마음이 들면서 한 곳 한 곳에 대한 설명, 그 유래, 자리앉음새, 건물의 배치, 구조, 산사에서 보관 중인 유물(문화재), 그야말로 주변 풍경과 산사의 어울어짐이 만들어낸 서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면모에서 바라 본 산사 순례이기에 마치 작가님의 소개로 직접 그곳을 둘러보는 느낌이 들정도로 잘 쓰여진 책이다.

 

게다가 문화적 가치라든가, 산사의 역사적 의의나 그 생김에 얽힌 이야기 등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많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록 선정된 산사의 수는 많지 않으나 그 깊이면에서는 오히려 산사 편만 따로 시리즈를 만들어도 될 정도로 좋았던 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