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 끝에 철학 - 쓸고 닦았더니 사유가 시작되었다
임성민 지음 / 웨일북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이라고 하면 자연스레 소크라테스나, 공자,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고대 철학자에서부터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아들러라든가 니체가 먼저 떠오르고 동시에 일반인들은 쉽사리 생각해내기 힘든 고차원의 소위 말하는 형이상학적인 이론을 말하고자함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봤는데 『청소 끝에 철학』은 상당히 흥미롭게도 청소라는 개념과 철학을 결합시켜서 전혀 의외의 스토리를 전개해나간다.

 

처음 『청소 끝에 철학』이라는 책 제목을 들었을 때는 '청소'라는 개념이 우리가 보편적으로 어질러진 것들, 더러워진 것들을 치우는 행위 그 자체만을 생각했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청소라는 개념을 좀더 포괄적이고 보다 넓은 의미에서 접근하고 있는 기존의 우리가 생각하는 청소는 물론이거니와 없던 것을 치우는 것, 공간에 변화를 주는 행위도 포함한다.

 

게다가 청소라는 행위뿐만 아니라 청소 도구, 가구 배치 등에 대한 부분도 언급하고 있는데 요즘은 청소기가 대체해서 실내에서는 잘 쓸일이 없는 빗자루와 마녀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이것이 청소는 여성의 일이라는 인식, 그리고 마녀사냥을 위해 쓰인 힘없는 여성에 대한 권력자들의 횡포라는 것, 또 처음 생성된 단어의 뜻과는 달리 지금은 문란한 여성을 뜻하는 그 의미가 왜곡되어 버린 하나의 청소도구를 보면서 여성을 비하하는 세태도 보여준다.

 

좌식 문화였던 우리나라와 미국인들의 생활양식을 통해 청소라는 개념 역시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우리는 보통 개인의 공간도 손님이 오며 내어줄 수 있기에 청소에 대해 부모님으로부터 이야기를 들을 때 누가 보면 어떡하냐는 식으로 표현이 되지만 미국은 그 방 주인이 아이의 건강적인 측면에서 표현된다는 것이다. 물론 지금은 가족구성원이 적어지고 대부분은 자신의 방을 가진다는 점에서 이런 표현이 완벽히 맞아떨어지지는 분명 공감이 가는 부분도 크다.

 

이렇듯 책은 청소라는 일상적인 행위에서 철학을 논하고 있지만 결코 어렵지 않거니와 역사, 사회, 문화 등의 요소에서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의외의 사실들을 발견하는 재미도 있고 관련된 영화나 명화 등도 함께 실음으로써 더 큰 독서의 재미를 선사한다.

 

재미있겠다고 생각은 했지만 그 이상으로 알아가는 것도 많았던 기대 이상의 책이였던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