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시민 상주’ 일기]유가족들 사생결단 단식에 관심을 |
|
그 손 잡아줘야하지 않겠는가? |
내 탁상달력엔 빨간 펜으로 기록한 특별한 날이 있다. 지난 8월 6일은 2-6 이태민, 2-7 오경미 생일이었고, 9월 13일은 2-4 임경빈 생일이다. 이 땅에서 다시 축하받지 못할 생일 주인공들은 세월호에 갇혀 떠난 단원고 아이들이다. 작년 12월에 출간된 「엄마. 나야.」에 수록된 아이들 생일을 적어두고, 그날에 생일 맞은 아이의 생일시를 읽으며 기억하는 나만의 추모식이다. 이름도 얼굴도 몰랐던 그 아이들을 기억하는 건, 이런 몹쓸 세상을 만들어버린 부끄러운 어른의 자기반성이고 행동하는 양심을 잃지 않으려는 다짐이다.
8월 27일 토요일 새벽 5시, 시민상주모임 식구들과 광화문으로 출발했다. 마음은 있으되 상주모임에 함께하지 못한 마음의 빚을 조금이라도 덜고자 나선 동행이지만, 사생결단식으로 세월호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세월호특별법 개정과 특검도입 등 유가족의 간절함에 동참하는 마음도 컸다. 80년 5월 광주시민들이 견디었을 고립무원의 두려움이, 지금 세월호 (유)가족들에게도 엄습하는 건 아닐까? 다른 도시에서 구원의 소식이 오기를 간절히 바랐을 광주의 마음처럼, 세월호 (유)가족들에게도 함께 잡을 손길이 절실하지 않을까 싶어서였다.
유가족들이 사생결단하는 광화문 현장과 민주당 전당대회에 오는 이들에게 알리고자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선 많은 이들을 보면 희망이 보였고, 눈길조차 주지 않고 대회장으로 들어가는 이들을 보면 절망감이 들었다. 국가가 해야 할 당연한 일을 해달라고 사생결단하는 현실은 암담하지만,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고 함께하는 이들이 있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믿음도 생겼다. 광주로 돌아오기 전에 들른 더불어민주당사에서 농성중인 유가족에 경빈이 엄마가 있어, 탁상달력에 적힌 빨간 생일이 생각나 마음이 더 아팠다.
충청도 시골에 살던 내 유년기 추억 속엔, 서울에 다녀올 때마다 호두과자를 사다 주신 친정아버지가 각인돼 있다. 결혼하고 광주로 와서 삼남매의 엄마가 된 후, 서울을 다녀올 때마다 나도 친정아버지처럼 호두과자를 사온다. 상주모임과 함께하고 돌아오는 길에도 어김없이 호두과자를 사왔는데, 스물넷과 스물두 살이 된 우리 둘째와 막내가 심야의 간식에 배시시 웃으며 게 눈 감추듯 먹어치웠다. 생일축하와 더불어 이런 소소하고 평범한 일상을 빼앗겨 버린 세월호 유가족들의 아픔과 간절함에, 우리 모두 내 식구 일처럼 마음이 가 닿기를......
그리하여 끝끝내 숨기려는 자들로부터 세월호의 진실을 밝혀내고 정의가 바로 세워지는 나라를 만들어야 않겠냐고 자문해본다. 해방 후 친일파를 척결하지 않은 죄, 시민들에게 안심하라 해놓고 자기들만 빠져나간 뒤 한강다리를 끊어버린 이승만과 광주학살의 책임자를 처단하지 못하는 등 정의가 바로서지 않은 나라로 만들어버린 우리에게 책임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갖 부정과 비리에도 대한민국호가 가라앉지 않고 항해할 수 있는 건, 우리자신에게 내재한 복원력밖에 없다는 한홍구 교수의 말씀으로 마친다.
“더 이상 대한민국호를 책임지지 않는 자들, 위기의 순간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는 자들에게 맡겨둘 수 없다. 살아남은 자의 슬픔을 간직한 이들이 움직여야 한다. 역사는 책임지는 사람들의 것이다.”
한홍구, 「역사와 책임」 2015, 한겨레출판, 51쪽.
매주 월,수,금 광주드림에 실리는 상주일기, 토요일 광화문광장에 함께 한 일기입니다.
http://www.gjdream.com/v2/simin/view.html?news_type=105&uid=475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