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쁜 피 ㅣ 민음 경장편 1
김이설 지음 / 민음사 / 2018년 3월
평점 :
오즈마님의 페이퍼를 보고 궁금했던 책인데 도서관에서 눈에 띄길래 낚아챘다. 인간이 얼마나 못돼 먹었는지 '나쁜피'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 보여주면서, 가족이란 어떤 존재이고 의미인지 되새기는 책이다. 인생막장 같은 가족 관계를 들이밀지만 구질구질한 신파로 몰아가거나 질질 끌지 않는 속전속결의 깔끔한 소설이다.
예전에 '사원을 가족처럼'이란 표어를 내건 기업 광고가 있었다. 그 광고를 보면서 사람들은 고약한 표어라고 했다. 말은 가족이 가장 소중한 존재라고 하면서, 감히 남에게 할 수 없는 짓도 가족에겐 거리낌없이 한다. 그런 의미에서 사원을 가족처럼 여긴다는 말은 사원을 함부로 대하겠다는 말이라는 것이다. 주위에서 사람에 대한 예의나 배려는 없고 억지로 지워진 의무만 감당하는 가족을 봤다면 쓴웃음으로 공감할 수 있다. 누군가의 삶에 치명적 위해를 가하는 이런 일은 주위에 널렸다. 그래서 책 속의 이야기가 끔찍하고 치떨리지만 그다지 낯설지 않은 삶의 단면을 보는 것 같다.
나쁜피의 가족관계는 참담하고 잔인하다. 아비도 모른 채 '병신딸'로 태어난 화숙은 사랑받으며 자라지 않아 사랑할 줄도 모른다. 바꿀 수 없는 자기 현실을 증오하며 그곳을 벗어나기 위해 악착같이 돈을 벌지만, 다람쥐 쳇바퀴 돌듯 그곳을 벗어나지 못한다. 화숙의 증오는 그녀 삶의 근원이고 생존법으로 읽힌다. 고물상을 하는 외삼촌은 정신지체인 화숙의 엄마를 함부로 대한다. 이유도 없이 구타하거나, 고물상 직원을 부려먹기 위해 여동생을 때리는 못된 오빠다. 그런가하면 제 어미에게도 손찌검을 하는 후레자식이다. 화숙은 엄마가 외삼촌에게 맞으면 외삼촌 딸인 수연에게 모든 분풀이를 한다. 수연은 아버지의 폭력과 화숙의 폭행에도 저항하지 않고 묵묵히 당한다. 폭력은 사람이 기를 펴고 살 수 없게 만드는 공포다. 폭력과 증오로 나타난 나쁜피의 피해자는 화숙 뿐 아니라 그 가족들이고, 저항할 줄 모르는 착한 수연은 진짜 희생양이 된다.
화숙은 제엄마의 방에 아무 놈이나 들락거리며 함부로 범하는 걸 보고 자랐다. '이웃 고물상 김씨, 박씨, 먼 친척뻘 종수 아저씨, 윤씨 할아비, 근우, 용재 같은 청년, 얼굴도 모르는 남자들도 심심찮게 드나들었다'며, 내 아비도 저런 놈들 중에 하나였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화숙은 그런 엄마를 평생 감당해야 하는 것이 억울했고, 너무 가혹한 짐이라 생각했다. 엄마는 살아 있을 필요가 없는 인간으로 죽는 것이 낫고, 자기 손으로 죽일수만 있다면 기꺼이 그러고 싶어했다.(47~48쪽)
아이가 보는데서 버젓이 아이 엄마를 범하는 사내놈들은 인간 말종이고 쓰레기다. 여기 나오는 인간들 몸에 흐르는 피는 분명 나쁜피인가 싶다. 엄마가 간질로 쓰러졌을 때 사정없이 두들겨패고 죽게 내버려 둔 외삼촌을 목도한 화숙은, 증오에 찬 거짓말로 복수한다. 화숙이 보는데 버젓이 엄마를 범한 고물상 이씨가 외숙모와도 그짓을 했다고 고발한다. 죽도록 두들겨 맞은 이씨와 외숙모는 야반도주를 했고, 훗날 이씨의 아들 재현과 수연의 얽힌 관계는 화숙에게 증오를 불러 일으켜 수연의 자살로 몰아 간다. 생전 처음 사랑해주는 재현을 만난 수연은 딸 혜주까지 팽개쳐버리지만, 재현의 뒤틀린 사랑의 폭력은 감당하지 못한다. 피해자이면서 화숙처럼 자신을 지킬 수 없었던 수연의 죽음은, 막다른 골목까지 내몰린 약자가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
화숙과 외할머니, 외삼촌과 수연의 관계도 피로 엮어졌을 뿐, 보통의 가족처럼 사랑이 흐르는 가족이 아니었다. 제 배고프면 시도 때도 없이 할머니에게 '밥 줘' 소리치는 화숙, 제가 밥을 채려줘야지 나한테 밥을 차려달라냐 욕하며 술만 먹는 할머니, 수연이 죽어가도 나몰라라 하는 외삼촌이나 딸 혜주를 방치한 수연은 따뜻한 밥상을 나누는 가족이 아니었다. 이 책의 가족들은 밥상에 옹기종기 모여 화기애애한 사랑을 나누지 않지만, 작가는 TV드라마처럼 밥먹는 장면을 많이 넣었다. 작가의 성장기에 따뜻한 밥상이 결핍된 거 아닐까 생각도 들었지만, 결국은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의 귀착점을 밥상으로 잡았기 때문이라 짐작해 본다.
증오와 폭력으로 상처받은 이들에게 제대로 된 밥상을 차려준 이는 옆방의 진순이다. 진순은 아이를 낳아 키우면서도 생리만 하면 가족이 끔찍하게 싫었다. 한달에 보름은 가족을 방치하고, 보름은 미안함에 쩔쩔매는 일상의 반복에 질린 남편과 이혼했다. 하지만 이혼 후 근종으로 자궁을 들어낸 후 사라져 버렸다며, 수연의 딸 혜주를 따뜻하게 거둔다. 진순은 모성을 경험했지만 현재 가족이 없는 결핍상태라 가족의 소중함을 아는 유일한 사람인지도 모른다. 그녀는 혜주를 씻기고 거두며 맛난 음식을 해 먹인다. 진순의 따뜻한 밥상은 외삼촌의 안채를 차지하고 혜주의 엄마로 살게 한다. 외삼촌의 실종과 죽음으로 고물상을 꾸려가는 화숙은, 진순과 혜주와 한솥밥을 먹는 새로운 가족이 된다.
진순의 따뜻한 밥상은 세 여자가 손잡은 혜주의 그림처럼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예고한다. 부쩍 늘어난 이혼과 새혼으로 가족의 새판짜기는 거부할 수 없는 현실이니, 피를 나눈 관계만 가족이라고 빡빡 우길 수도 없게 됐다. 새로운 형태의 가족을 맞아야 하는 현대사회에 진정한 의미의 가족은 무엇인지 되새김 하기에 좋고, 사랑이 없으면 사람은 얼마나 악해질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된다. 새로운 가족으로 귀결되는 마무리가 아니었다면 도저히 용서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가정을 꾸리고 자식을 낳아 키우며 따뜻한 밥상을 나누는 평범한 삶을 화숙은 갖지 못했다. 화숙은 초췌한 몰골의 수연이 안돼 보여 밥상을 차려 기어이 다 먹이는 장면이 나온다. 애증으로 점철된 관계에서 화숙이 수연에게 베푼 유일한 사랑이었다. 읽을 땐 무심히 지나쳤는데 끝까지 읽고 나서야, 따뜻한 밥상으로 마무리 한 작가의 계산된 복선이라 생각됐다. 남하고 같이 밥을 먹는 건 친교의 수단이지만, 부부싸움 후 미움이 가득찼을 때 밥상을 차리거나 함께 밥을 먹는 건 고문이라 거부했던 경험이 있으리라. 가족에게 날세운 증오를 녹일 수 있는 건 따뜻한 밥상이구나 깨달으면서, 날마다 차리는 밥상이 부담스러운 건 주부이기 때문이리라. 날새면 또 무엇을 지지고 끓여 따뜻한 밥상을 차릴까 고민되는 새벽이다.^^
고3때 기숙사에 들어간 큰딸이 얼마 지나지 않아 입에 달고 살던 말이 '집 밥 먹고 싶어'였다. 나는 사랑과 정성을 그득 담은 따뜻한 밥상을 잘 차리는 엄마도 아닌데, 아이는 집 떠난 불편이 '집 밥'을 못 먹는 것으로 인식된 듯했다. 기숙사 생할 3년을 마치고 온 지금은, 가만히 있어도 끼니마다 집 밥을 먹을 수 있어 좋단다. 가족이란 '집 밥을 같이 먹는 사이'라는 걸 새삼 깨달았다.
우리 딸이 정의하는 집 밥이란, 차마 남에게 내보일 수 없는 밥상을 공유하는 것이란다. 하지만 여기 올린 사진은 다 내가 만든 음식이고 우리 밥상에 올렸던 음식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513866.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51387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93186.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9557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513867.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6609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513876.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4388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8926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83499.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43884.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83493.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1496014333892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