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되지 않은 어린 시절의 조각난 기억이 하나 있다. 그때 내가 몇 살이었는지 잘 모르겠다. 어느 일요일 낮에 아버지가 TV에서 방영되는 영화를 보고 계셨다. 아버지 옆에서 같이 영화를 봤는지, 아님 왔다 갔다 하며 한 번씩 TV 화면을 쳐다봤는지 확실하지 않다. 검정색으로 칠해진 벽에 딱 두 점의 그림만 걸려있는 것처럼, 지금 나에게도 영화의 두 장면만 기억 속에 돌출되어 있다. 한 노인이 망망대해에서 혼자 낚싯배에 앉아있는 것과 항구에 뼈만 남은 물고기를 매단 배가 정박되어 있는 모습이다.
그 영화가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너무나 유명한 소설인 『노인과 바다』였다는 사실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스토리가 복잡하지 않아 읽지 않아도 여기저기서 들은 풍월로 대충 내용을 알아, ‘인간은 파멸당할 순 있지만 패배하지는 않는다’는 소설 속 문장의 전후맥락을 이해할 수 있었다.
세월이 많이 흘렀고 나는 이제야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를 읽었다. 50년 동안이나 어부로 살았지만 산티아고에게 남은 건 조각배 하나와 ‘영원한 패배를 상징하는 깃발처럼 보이는’ 밀가루 부대 조각으로 기워져 있는 돛, 거의 텅 빈 판잣집이다.
그에게는 동료이자 제자인, 자신을 다정하게 돌봐주는 착한 소년 마놀린이 있다. ‘바다와 똑같은 빛깔을 띤’ 눈과 신념, 겸손이 있지만 노인은 팔십 사일동안 고기를 한 마리도 잡지 못했다. 어부로서의 운이 다했다고 동네 사람들은 수군 되지만 노인은 팔십오 일째 되는 날에도 바다로 나간다. 이른 새벽에 커피 한 잔만을 마시고 물병 하나만 싣고 조각배를 바닷물에 밀어 넣는다.
노인은 노를 저어 먼 바다로 나간다. 노인은 끊임없는 생각을 하고, 큰소리로 말하기도 한다. 여기서부터 헤밍웨이가 부리는 문장의 마법이 시작된다. 그의 문장은 산티아고가 있는 망망대해의 한가운데를 단 하나뿐인 세상으로 만든다. 헤밍웨이는 그곳에 나를 데려다 놓는다. 산티아고와 단둘이 만난다. 조류와 바람, 산티아고가 하는 말에 내 모든 감정이 두둥실 떠오른다.
드디어 엄청나게 큰 청새치가 미끼인 정어리를 문다. 힘센 그 놈은 노인의 배를 먼 바다로 끌고 간다. 낚싯줄이 계속 풀어져 끊기게 될 위험이 있으니 노인은 낚싯줄을 등에 감은 채 적당한 힘으로 버텨줘야 한다. 고기는 물속에 있다. 2박 3일 동안 노인과 청새치의 힘겨루기는 팽팽했고 그것을 견디느라 노인은 뼛속까지 피로함을 느낀다. 정신이 아찔해지고 손에서 쥐가 난다. 원을 돌며 버티던 청새치는 결국 물 밖으로 몸을 내밀었고 노인은 ‘고기의 가슴지느러미 바로 뒤쪽 옆구리’에 작살을 꽂는다.
[노인은 모든 고통과 마지막 남아 있는 힘, 그리고 오래전에 사라진 자부심을 총동원해 고기의 마지막 고통과 맞섰다.]
노인은 자신의 어부 생활 통틀어 가장 큰 고기를 낚았지만 피 냄새를 맡고 ‘아무런 거리낌’없이 쉴 새 없이 찾아오는 상어 떼에 의해 죽은 청새치의 살은 뜯겨 나간다. 노인은 그때마다 작살과 몽둥이로 상어를 내리치지만 소용없다. 아무것도 얻은 것이 없다.
[좋은 일이란 오래가는 법이 없구나, 하고 그는 생각했다. 차라리 이게 한낱 꿈이었더라면 얼마나 좋을까. 이 고기는 잡은 적이 없고, 지금 이 순간 침대에 신문지를 깔고 혼자 누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인간은 패배하도록 창조된 게 아니야.“ 그는 말했다.
”인간은 파멸당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패배할 수는 없어.“]
노인은 온갖 생각을 한다. ‘자신 옆에 소년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라는 생각, 낚시에 걸린 큰 고기가 불쌍하다는 생각, 차라리 어부가 되지 말걸 이라는 생각, 고독하다는 생각.
그리고 ‘고기를 그냥 놓아주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라는 생각까지 한다.
영화를 본지 얼마 지나지 않은, 내가 아주 어렸을 때 이 소설을 읽었다면 난 물고기와 사투를 벌이는 노인의 의지만 봤을 것 같다. 파멸당할 지라도 패배할 수 없다는 인간의 힘을 당연히 믿었을 것이다. 아버지가 저세상으로 떠나신지 오래되고 나도 초로의 나이가 된 지금, 이제야 읽은 이 소설에서 나에게 그런 것은 느껴지지 않는다. 뭣하나 자신의 손에 쥔 것이 없는 산티아고가 내뱉은 ‘차라리 어부가 되지 말걸’이나, ‘그냥 물고기를 놓아 주었더라면’이라는 말이 더 실감나게 다가온다.
묵묵함과 성실로 평생을 살았고 어부가 지녀야 할 지혜와 기술을 가졌지만 그것으로 산티아고는 오늘만을 살 수 있다. 내일 그는 다시 고독과 사투가 있는 망망대해로 나가야만 한다. 그런 그에게 주마등처럼 지나가는 삶은 과거를 견딘 영광뿐이다. 무엇이 소중하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는 그저 그의 가슴에서 출렁이는 파도 속에 묻혀버리고 만다. 1961년 7월 엽총으로 자살하기 전 출간한 헤밍웨이의 마지막 소설이라 더 그런 느낌이 드는 지도 모르겠다. 헤밍웨이 자신이 바로 산티아고 노인일수도.…
[한데 너를 이토록 녹초가 되게 만든 것은 도대체 뭐란 말이냐, 하고 그는 생각했다.
“아무것도 없어. 다만 너무 멀리 나갔을 뿐이야.” 그는 큰 소리로 말했다.]
판소리로 만나는 『노인과 바다』라니, 관람하기도 전에 마음이 설레고 기대되었다. ‘국악인 이자람’과 ‘고수 박근영’만이 덩그러니 있는 무대였다. 조용히 앉아서 판소리의 형식으로 표현되는 ‘노인과 바다’만 듣고 있으면 되는 줄 알았다. 잘못된 생각이었다.
이자람의 공연은 소리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내레이션과 모든 장르의 판소리와 액션이 있는, 완벽한 모노드라마였다. 큰 동작이 없었고, 동선도 넓지 않았지만 그 어떤 다른 공연보다 압도당했다. 소설책 한 권을 이자람 한 사람을 통해 통째로 관객들이 읽을 수 있었다. 거기다 판소리 특유의 해학과 관객들의 추임새도 있어 재미있기도 했다. 다른 언어로 된 소설을 판소리로 만든 것이 참신했지만, 오히려 이것이 내가 판소리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 ‘춘향가’나 ‘수궁가’ 같은 전통 판소리 공연도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이자람, 정말 대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