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옳다 - 정혜신의 적정심리학
정혜신 지음 / 해냄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을 다루는 책들은 거의 모두 우리에게 '당신이 옳다'라고 말한다. 정혜신의 이 책은 제목부터 그러하니 나에게 계속 '당신이 옳다'라고 말해주는 책이려니 했는데 생각보다 '공감'에 대한 얘기가 많았고 그 '공감' 의 내용에 많이 공감했다.

 

살아가면서 사람들과 교류할 일이 많고 그럴때마다 우리는 공감이라는 도구를 사용한다. 공감이란 좋은것이고, 필요한 것이고 사랑을 표현하는 한 방법이 될 수가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는 공감을 강요당하며 살고도 있다. '나' 드러내기에 혈안이 되어있는 요즘의 사회에서 공감해주지 않으면 당신이 못났고 그러한 것을 가지지 못해서 그런거라는 손가락질로 되돌아오기가 쉽다.

 

공감은 내 등골을 빼가며 누군가를 부축하는 일이 아니다.

공감은 너를 공감하기 위해 나를 소홀히 하거나 억압하지 않아야 이루어지는 일이다. 누군가를 공감한다는 건 자신까지 무겁고 복잡해지다가 마침내 둘 다 홀가분하고 자유로워지는 일이다.-p121

 

감정적 반응 그 자체가 공감은 아니다. 한 존재가 또다른 존재가 처한 상황과 상처에 대해 알고 이해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존재자체에 대해 갖게 되는 톻합적 정서와 사려 깊은 이해의 어울림이 공감이다. 그러므로 공감은 타고난 감각이나 능력이 아니다. 학습이 필요한 일이다.

사람들은 공감을 정체를 알 수 없는 순정한 무엇으로 여긴다. 진짜 그런가.-p124

 

나는 공감능력이 좋은 편이라고 나 스스로 생각한다.나 스스로....

공감이라는 것과 뭔가를 이해한다는 것은 다르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과 소신속에서 이해할 수 없는 사람과 상황은 많다. 나는 공감능력은 많지만 내가 이해할 수 없는 것을 이해해주는 능력은 많지 않다. 그래서 좋은게 좋은 것이 잘 되지 않는다. 이런 나의 성향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고 행동에 대한 복기도 많이 해봤지만 잘 고쳐지지 않고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다. 이런 나에게 이 책은 공감에 대한 정확한 맥을 짚어주고 나를 위로해주었다.

 

구석구석 비춰주는 거울처럼, 구석구석 빼놓지 않고 나를 담고 있는 누드 사진처럼 '거부감 들지 않고 다정하게, 그러나 구체적인'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공감 유발자다. 자세히 알아야 이해하고 이해해야 공감할 수 있다. 공감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배우고 익히는 습관이다.-p128 

 

공감자는 모든 사람과 원만하게 지내는 사람이 아니다. 너도 마음이 있지만 나도 마음이 있다는 점, 너와 나는 동시에 존중받고 공감받아야 마땅한 개별적 존재라는 사실을 안다면 관계를 끊을 수 있는 힘도 공감적 관계의 중요한 한 축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관계를 끊는 것이 너와 나를 동시에 보호하는 불가피란 선택일 때가 있기 때문이다.-p170

 

부모가 관계의 본질을 이해하고 사과하고 제대로 공감하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허무할 만큼 어렵지 않게 갈등이 풀린다. 그러나 성인 간의 관계는 다르다. 내가 감당해야 할 몫이 있지만 나만 잘한다고 되지 않는다. 상대가 감당해야 할 몫도 있다. 그것까지 내가 짊어질 이유는 없다. 너도 있지만 나도 있다. 어떤 관계에서든 납득할 수 없는 심리적 갑을 관계가 일방적이고 극단적으로 계속된다면 이런 관계를 끊을 수 있는 것이 더 건강하다. 우선 내 건강성을 지켜야만 나중을 기약할 수도 있다.-p171

 

정혜신의 적정심리학, '당신이 옳다' 에는 '공감'에 대한 내용뿐만 아니라 다른 것도 많이 다루어져 있다. 하지만 지금의 나에게 가장 필요하고 적절한 것만 나열했다. 그 부분이 나에게 가장 적합한 위로이기 때문이다. 얼마전 한겨레신문에서 정혜신작가와 그의 남편 이명수씨의 충조평판에 대한 인터뷰가 있었다. 그때 그 기사의 댓글에서 이 두사람에 대해 나쁜 얘기가 많이 있었다. 나는 이 두분의 결혼얘기에 대해 잘 모르고 궁금하지도 않다. 그저 국가가 잘못해서 일어난 여러가지 굵직굵직한 트라우마의 현장에 직접 뛰어드는 모습을 좋아하고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부부간의 신뢰하는 모습도 좋아보였다.

 

'당신이 옳다' 는 현실적 수준이 아닌 근원적 수준의 확인이라는 자저의 말에 수긍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20-03-08 20: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읽었는데 괜찮았던 것 같아요.
페넬로페님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 오후 참 따뜻하더라고요.
편안한 저녁시간 되세요.

페넬로페 2020-03-08 22:09   좋아요 1 | URL
네, 이 책으로 도움많이 받았어요~~
감사합니다^^

페크pek0501 2020-03-11 11: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심리학과 관련한 책은 흥미로워서 저도 이 책의 구매자입니다. 잘 읽혀지는 책이죠.ㅋ

페넬로페 2020-03-11 11:28   좋아요 0 | URL
네, 잘 읽었어요^^
공감에 대한 부분도 좋았는데 정신과 상담과 약복용에 대해서도 수긍이 가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