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학자들은 12세기 런던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뼈를 발굴해서 조사해 보고는 당시 사람들이 지금 우리 세대를 제외하고는 역사상 어떤 시기 못지않게 키가 크고 영양 상태가 좋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여성의 경우에는 키가 더 큰 편에 속했다. 중세시대 가운데 그들은 3세기 동안 가장 위대한 예술작품을 만들어 낸 사회에 살고 있었다. 북유럽의 채석장에서 고대 이집트가 피라미드를 건설하기 위해 사용했던 것보다 더 많은 석재를 생산해서 고딕풍 성당을 건설했다. 그 당시 북유럽에는 전쟁 때문에 기근과 빈곤이 있었지만, 평화 시에는 현재의 우리와는 다르게 빈곤이 거의 없었다. 



중세 봉건제 아래에서 영주의 크고 작은 통제는 받았지만, 수십만의 소작인들이 대부분 빚지지 않는 경제적 안정을 누렸으며 중세 농부들은 오늘날 우리보다 더 긴 휴가를 즐겼다. 경제학자들 계산에 의하면, 빅토리아 시대인 1495년 당시 공유지에서 일했던 평범한 농부 한 사람이 연간 15주 정도 일하면 1년 동안 생활하는 데 필요한 돈을 벌 수 있었다. 그런데 지난 200년 동안 유례없는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왜 중세시대의 소작농들보다도 더 죽어라고 일을 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가? 우리는 집 하나 사는 것도 매우 어렵게 되었으며, 부부가 1년 내내 일하지 않고는 그럭저럭 살아가는 것조차 힘들고, 그것마저도 누리지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중세 서유럽 경제가 오늘날의 21세기 경제보다도 번영을 누릴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비록 길드제도가 폐쇄적으로 운영되는 측면이 있었지만, 구성원들이 장인으로 훌륭하게 커나가는 데 직업 훈련과 지원을 아낌없이 제공했다. 또한 중세에는 가격을 합리적으로 매김으로써 자원을 보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합리적인 가격 덕분에 무차별하게 물고기를 잡을 필요가 없어 강의 수질을 보호하고 어족량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교회가 이자를 부과시키는 것을 금지하였기에 대부금에 이자를 붙일 수 없었다. 때문에 귀족계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빚이 없었다. 물론 그 대신 중세 봉건제 아래에서의 의무는 있었다. 



그 당시 고딕 성당을 건축하는 재원을 어떻게 마련했는지 의문이 남아 있었는데,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당 건축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가혹하게 세금을 징수해서 사람들 삶을 힘들게 한 것이 아니라 가톨릭 교회가 12세기의 ‘블랙머니’라고 할 수 있는 자체 화폐를 발행하여 그 재원을 조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저가의 동전들은 몇 년마다 수수료를 붙여서 회수되고 재발행되면서 지역에서 소비를 늘리는 데 기여했다."









원래 경제학은 도덕 철학의 한 분야로 시작되었으며, 경제학이란 사람들을 빈곤에서 탈출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학문이다(이것이 경제학의 본질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edman 2023-07-03 20: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음...논란이 될 주장이네요. 개인적으로는, 저자들의 주장을 위해서 중세를 미화한 듯합니다

북다이제스터 2023-07-03 20:13   좋아요 0 | URL
그렇습니다. ㅎㅎ
저도 중세 관련 책 조금 읽어봤는데요, 매우 신선한 주장인 거 같습니다.
하지만 천년 중세를 저자가 말한 12~14세기 정도에만 한정하면 그럴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그 시기 기후가 넘 좋아서 농사가 엄청 잘 된 시기인 것으로 기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