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사회와 좌파의 재정립 - 보편주의적 복지국가를 향한 새로운 좌파 선언의 전략
사민+복지 기획위원회 엮음 / 산책자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좌파, 우파니, 진보와 보수니 하는 말들이 마치 태어날 때부터 썼던 말인 것처럼 사람들에게 익숙해졌지만 정작 그 뜻을 명확히 이해하는 사람이 많지는 않을 것이다. 스스로가 어디에 속했는지를 잘 아는 일도 그만큼 어렵다. 참 모호하다. 그러니 ‘한국 사회와 좌파의 재정립’. 참으로 궁금하지 않을 수 없는 제목이었다. 좌파는 진보이고, 우파는 보수이며 대부분의 좌파는 빨갱이이고, 대부분의 우파는 보수꼴통일까? ‘중도’라는 말 꼴통들이 자신을 포장하기 위해 하는 수사이고, 중도파는 결국 변절자일 뿐일까? 각설.
정치 성향을 떠나서 말하자면, 나는 자신이 보수적이라고 여겼다. 워낙 사물이 변하는 일을 좋아하지 않으며, 남이 변하는 것도 어색해하고,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이런 따위의 말에 쾌감을 느꼈다. 봄과 여름, 가을, 겨울이 일정하게 순환해야 안심이 되고, 거기 있던 것들이 적어도 그 주변에서 찾아져야 편안함을 느낀다. 사람 중에는 예의 없는 사람을 제일 싫어라 하고, 염치 없으면서 “나 원래 그래.” 하며 자주 표정이 바뀌는 사람을 싫어라 한다. 이 모든 것이 나를 스스로 보수적이라 느끼게 했다. 그래서, 터무니 없을 수 있겠지만 정치적 성향도 다소 그랬다. 과격한 이야기를 쉽게 하는 사람, 남이 틀렸다고 단정하는 사람, 틀린 사람은 벌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을 다 저어했다. 대학 때 안티에 속했던 것도 단순히 그런 내 성향 때문이었다. 수업 거부에 쉽사리 동의가 안 되고, 보도블록이 깨지는 모습이 거부감스러웠고, 운동권 친구들의 한결같은 표정과 말투가 거부감스러웠다. 옳지만, 옳은 것이 모든 걸 정당화시켜 주지는 않는다고, 막연히 느꼈다. 그 많은 ‘부정’들로 무얼 이룰 것인가, 싶었다.
그런데, 이 책은 동조하되 함께 행동해지지 않았던 오랜 내 고민을 단숨에 해결해 주었다. 이 저자들은 현실을 깨부수자고 누군가 외치면 도저히 따라가지지 않는 많은 이들에게 ‘지금, 우리가 가진 바탕 위에서 조금씩 바꿔 나가보자.’고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이념이 같아도 방법론은 시대와 사회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고, 또 그래야 한다. 그때는 그랬지만 지금도 비슷한 이야기만 되풀이하면 ‘어쩌자는 거냐.’ 싶었다, 안 그래도.
여러 저자들의 사회민주주의에 대한 글들을 모은 책. 말하자면 국가와 민족을 긍정하며, 법과 민주주의의 테두리 안에서 지금 우리에게 맞춤한 ‘ism'이 뭔가를 고민하는 책이다. 흔히 좌파라고 하면 북한을 옹호해야 하고, 현 정부와 체제를 강도 높게 ’비난‘하며 싹쓸이 하듯 혁명적 변화를 일궈내야 하는 것이라고 믿어왔던 구태를 벗고, 극단적 자유와 평등이 아닌 실질적 자유와 평등을 확보하자는 주장을 펼친다. 따라서 예견했던 것과는 달리 좌파의 뿌리와 단정적 개념 이야기로 깊이 들어가지 않는다. 구구절절하지 않으며 대신에 매우 실제적이고, 실천적인 이야기들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한 마디로 사민+복지국가로의 지향이다. 복지국가를 정확히 정의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가가 상당히 깊숙이 개입하여 이익을 재분배함으로써 국민 전체가 ‘생존’ 아닌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보장해 주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것이다. 그저 시장의 원리에 모든 것을 맡기면 ‘공평’을 찾기 힘들기 때문이라는 단순한 원리다. 시장을 극단적 시장주의자에게 맡기면 안 된다는 이야기가 매우 설득력 있다.
사실 독후감에 인용하기 위해 수많은 페이지에 밑줄을 쳐 두었으나, 장광설이 될까봐 옮기지 않으려 한다. 기존의 좌파에게서도 우파에게서도 별 인기를 끌지 못하는 이들의 글을 한 번쯤은 읽어봐야 할 것이다. 단순한 지지의 의미가 아니라, 수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장으로서의 의미이다. 내게는 제대로 된 교과서 같은 책이고 무엇보다 흥미진진하고 즐겁고 희망적이다. 밤새워 읽을 만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