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대의 운하길을 걷다 - 항주에서 북경 2500km 최부의 '표해록' 답사기 이상의 도서관 40
서인범 지음 / 한길사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성종 때 제주도에서 표류되어 중국 영파로 갔던 관리 최부의 <표해록>을 바탕으로 직접 중국 대운하를 답사한 일종의 인문 여행기다.

직접 <표해록>을 번역한 학자의 여행기라 당시 중국의 역사적 상황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지루하지 않게 여행기도 간간히 곁들여 흥미롭게 읽었다.

다만 도판이 흑백이라 아쉽고 여행 일정이 꽤 많이 삽입되어 전문적인 인문 답사기로서는 밀도가 떨어지는 듯 하다.

마치 정수일의 <라틴 아메리카를 가다>를 읽을 때 기분이랄까.

전공자의 답사기인 만큼 주제에 좀더 집중해서 썼으면 어땠을까 싶다.

책값 때문이겠지만 도판도 기왕이면 컬러로 실어주면 보는 즐거움이 배가될 것 같다.

천신만고 끝에 중국 남방에서 북경까지 가서 황제를 알현하고 6개월 만에 귀국하여 왕에게 표류기까지 지어 바쳤으나 연산군 때 갑자사화로 참형에 처해지는 비극을 겪는다.

말년이 이렇게 비참한 줄은 몰랐던 사실이다.

표해록은 말로만 듣고 이 책에서 본문을 처음 접했는데 당대 중국 역사와 지리가 꽤나 상세해 역시 엘리트 관료였구나 싶다.

사행록은 지루하다는 편견을 가졌는데 <열하일기> 해설서 같은 걸 읽어 봐야겠다.


<인상깊은 구절>

350p

그러나 최부는 禮에 해당되지 않는 제사를 지내는 것은 곧 음사라며 거부했다. 음사로 복을 얻은 자를 아직 보지 못했다며 귀신에게 도와달라고 갈망하는 태도를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유자의 면모를 의연하게 지켜냈던 것이다.


<오류>

269p

한신은 처음에 항우를 찾아갔으나 등용되지 못했다. 그러자 한나라에 귀부해 공을 세워 한왕이 되었고

->한왕이 아니라 초왕이 되었다.

274p

경종 경태 2년에 들어서~

->경태제의 묘호는 경종이 아니라 대종이다.

287p

유방은 배다른 어린 동생 유교를 초왕으로 임명했다. 이 유교의 6대손이 바로 유주다.

->초양왕 유주는 초나라의 6대왕이나, 첫 왕인 유교의 6대손이 아니라 현손이다.

340p

효강황후 장씨는 가정 28년 1549년에 죽었다.

->무종 정덕제의 모친 장씨는 가정 21년 1541년에 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