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노태돈 지음 / 경세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읽은 노태돈 교수의 책.

통사라 약간 지루했다.

잘 알고 있는 분야에서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깊이 파고드는 책이 더 흥미로운 것 같다.

정설로 교과서에 실려 익히 알고 있는 삼국시대 역사를 정리하는 기분으로 읽었다.

시작이 무려 구석기 시대라 이 부분은 짧지만 재밌었다.

한 가지 특이한 부분은 고조선의 시작을 기원전 7세기로 확정지을 수 없다는 것이다.

송호정 교수의 책에서는 <관자>라는 책에 고조선이 언급되었다는 점을 증거로 들었는데, 노태돈 교수는 이 책 자체가 훨씬 후대에 쓰여졌을 것으로 본다.

또 청동기에 새겨진 기후라는 명문은 하북지역 여러 곳에서 발굴되어 반드시 고조선으로 넘어온 기족의 유물이라 단정지을 수 없고, 오히려 한나라가 고조선을 지배할 무렵 생긴 전설로 치부한다.

이런 전설은 중국문명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는 역사적 부채의식의 발로라고 해석한다.

유적과 유물이 고고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으니 아직까지는 역사적 실체로 보기는 어려울 듯 하다.

 

고구려의 수도가 환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한 시기가 유리왕 때로 기록되어 있는데, 유적과 다른 사서를 종합했을 3세기 산상왕 때로 본다.

이런 이설이 재밌다.

발해의 지배층이 말갈족인가 고구려인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모호한 결론이라 아쉽다.

구분 자체가 현대적 관점이라 큰 의미가 없을지도 모르겠다.

삼국통일 후 신라가 왜를 이웃국가로 상정한데 비해 왜는 황제국을 내세우며 신라에게 번국의례를 요구하고 거부하자 침공계획까지 세웠다는 점은 처음 알았다.

나당전쟁을 통해 원산만까지 지배권을 인정받기는 했으나 신라가 당을 상대하면서 왜의 침공을 두려워 했다는 것이다.

이런 얘기는 역사책에 안 나오고 문화를 전해 줬다는 얘기만 나오니 당시 국제적 정세를 제대로 알 수가 있나.

일본은 발해에게도 신라 침공의 협조를 요청했으나 무산되고 당나라 역시 안녹산의 난으로 신라에 압력을 가하기 힘들어지자 그 후 신라와 왜는 외교 관계를 단절하게 된다.

삼국시대에는 그렇게도 문화교류가 많더니만 왜 통일 후에는 교류가 뚝 끊겼나 했더니만 이런 배경이 있었다.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은 좀더 부각되야 할 부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