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왕위계승 원리 연구 민족문화 학술총서 60
선석열 지음 / 혜안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들어 처음 읽은 책.

회사원에서 자영업자로 바뀐 후 너무 바빠 책 읽을 시간이 없다.

아침에 일찍 출근해 간신히 한 달 여에 걸쳐 읽었다.

논문을 손 본 책이라 출처가 확실하고 논증 과정이 철저해 신뢰감을 갖고 흥미롭게 읽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삼국사기 기록의 수정론이라 하겠다.

다른 책에서도 읽은 바지만,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문자 그대로 믿을 게 아니라, 2세기 정도 늦춰 생각하자는 것이다.

3대왕인 유리이사금 시대가 기록에 나온 1세기가 아니라, 3세기 무렵으로 생각한다.

신라는 김,석,박 세 왕실이 돌아가면서 왕위를 계승한 게 아니라, 유리왕을 시작으로 한 박씨 왕실과 탈해왕을 시조로 한 석씨 왕실이 병립했고, 미추왕이 아달라왕의 뒤를 이어 박씨 왕실에 이어 김씨 왕조를 개창했고, 미추왕은 첨해왕과 같은 시기에 재위한 것으로 보며, 눌지왕 때에 이르러 석씨 왕실까지 통합했다고 본다.

미추왕과 첨해왕이 같은 시대 사람이라고 보는 가장 중요한 근거는 신라에 불교를 전한 동진 승려 아도인데, 삼국유사에는 미추왕 때 왔다고 하나, 다른 기록에서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 사람이므로 실제 미추왕의 재위 기간은 내물왕 시기인 4세기 중반으로 봐 한다는 것이다.

3대 유리왕 다음 4대 탈해왕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탈해왕부터 16대 흘해왕까지 우시산국의 석씨 왕실은 따로 왕통을 이어갔고, 8대 아달라왕까지의 박씨 왕실이 끝난 후 13대 미추왕이 뒤를 이었으며, 사위로써 17대 내물왕이 뒤를 이어 19대 눌지왕 때 하나로 통합됐다고 본다.

즉, 탈해왕부터 흘해왕과, 유리왕부터 아달라왕까지, 또 미추왕부터 실성왕까지 이어올 때 석씨 왕실은 별개로 따로 존재했고 이들이 합병되는 과정에서 계보를 끼워 넣는 바람에 박, 석, 김이 돌아가면서 왕위를 이어간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삼성병립론이라는 흥미로운 주장이다.

삼국사기 초기 기록 수정론과 맞닿는 이론이라 무척 신선했다.

그렇게 생각하니 13대 미추왕의 사위가 17대 내물왕이라는 긴 시간적 연대가 해결이 된다.

고고학적 증거가 많이 발굴되어 초기 신라 왕실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길 바란다.

 

저자는 냉수리비와 중성리비에 지증왕이 갈문왕으로 기록된 것을 두고, 소지왕 사후 정변이 일어나 지증왕이 바로 즉위하지 못했다고 했는데 이 부분에 대한 확실한 증거가 없어 아쉽다.

저자는 또 신라 하대의 시작을 37대 선덕왕이 아닌, 38대 원성왕으로 삼는데, 선덕왕은 성덕왕의 외손인 반면 원성왕은 전혀 다른 방계로 기존의 오묘를 폐하고 자신의 조상들로 새로 세웠음을 증거로 든다.

박씨 신덕왕의 의부가 김예겸인데, 신덕왕의 어머니가 박문원과 혼인하여 신덕왕을 낳은 후 예겸과 재혼하여 의부가 됐다고 본다.

예겸은 효공왕의 장인인데, 자신이 후원하는 신덕왕을 왕위에 앉히기 위해 효공왕을 헌강왕의 서자라고 폄훼하지만, 효공왕 시절 어머니를 태후로 높인 점을 들어 저자는 효공왕이 헌덕왕의 진골 출신 후비로 보아 적자계승 원리에 맞다고 해석한다.

효공왕 사후 헌강왕의 사위였던 효종, 즉 경순왕의 아버지가 김씨로써 사위 계승 원리에 적합했는데 의부였던 예겸의 후원으로 인해 신덕왕이 즉위했고, 훗날 견훤이 신라 왕실을 바로 세운다는 명분으로 경애왕을 자결시키고 경순왕을 옹립했다고 본다.

새로운 해석이라 흥미롭게 읽은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